본문 바로가기


불교학과

불교학과

Department of Buddhism

학위과정 :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전 공 명 : 원불교학 (Won Buddhist)

학 위 명 : 문학석사 (Master of Arts)

철학박사 (Doctor of Philosophy) 후드색상 : 석사과정 : 흰색 (White)

박사과정 : 짙은파랑색 (Dark blue)

학과 교육목표

  1. 원불교학 · 불교학 · 기학 · 요가학 등의 종교 · 철학을 심도 있게 연구한다
  2. 동양의 제 종교사상의 융섭적 지식함양을 도모한다
  3. 대사회에 전개될 불교문화의 새로운 방향을 창조한다

학과대학원 위원회

성명 직위

박광수 교수

류성태 교수

임전옥 조교수

원영상 조교수

편성교과목

석사선수과목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0102 일원상론 Studies in Il-Won-Sang 3
10100104 교화학 Introduction to Sermon of Won Buddhism 3
10100110 종교사회학 Sociology of Religion 3
10100135 한국불교사 History of Korean Buddhism 3
10100136 유교사상의이해 Introduction to Confucianism Study 3
10100137 도교사상의이해 Introduction to History of Taoism 3
10100138 종교철학 Philosophy of Religion 3
10100140 불교학개론 Introduction to Buddhist Studies 3
10100141 종교학개론 Introduction to Religious Studies 3

박사선수과목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0300 원불교학연구 Studies in Won Buddhist Thought 3
10100301 불교학연구 Studies in Buddhist Thought 3
10100315 동양철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Philosophical Thoughts 3
10103069 초기불교연구 Studies in primitive Buddhism 3
10108040 도가사상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Taoist Thought 3
10100324 인도철학사 History of Indian Philosphy 3

공통과목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0300 원불교학연구 Studies in Won Buddhist Thought 3
10100301 불교학연구 Studies in Buddhist Thought 3
10100310 비교종교학연구 Studies in Comparative Religion 3
10100312 동양예술사상연구 Studies in Thoughts of Oriental Art 3
10100313 역경연구 Studies in I-Ching 3
10100315 동양철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Philosophical Thoughts 3
10100316 노장사상연구 Studies in Thought of Lao Tzu and Chang Tzu 3
10100322 전통문화콘텐츠론 Theories of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3
10100323 신화와상징연구 Studies in Myths and Symbols 3

전공과목

원불교학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1002 원불교해석학연구 Studies in Hermeneutics of Won Buddhist Scripture 3
10101004 교사연구 History of Won Buddhism 3
10101005 불교교리사상사 History of Buddhist Thought 3
10101006 예전연구 Ritual Text of Won Buddhism 3
10101007 교화학연구 Introduction to Sermon 3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1009 정전연구 Studies in the Canon 3
10101010 원불교학방법론 Methodology of Won Buddhist Thought 3
10101012 신앙론연구 Belief of Won Buddhism 3
10101013 수행론연구 Practice of Won Buddhism 3
10101014 교화방법론연구 Methodology of Won Buddhist Sermon 3
10101018 교단행정학연구 The Administration of Won Buddhist Order 3
10101054 대종경연구 Studies in Scripture of Great Master 3
10101064 일원상론연구 Studies in Il-Won-Sang Theory 3
10101065 종교사회학연구 Studies in Sociology of Religion 3
10101066 원불교교리형성사 The history of Won-Buddhism’s doctrin 3
10101073 사회조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3
10106013 한국신종교연구 Studies in Korean New Religions 3
10101068 교화상담 Edification Counseling 3
10101069 정산사상연구 Studies in Jeongsan Thought 3
10101070 교무론 Theory of Won-Buddhist Minister 3
10101071 원불교와불교관계론

Studie in Relation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3
10101072 원불교영성론 Studies in Won-Buddhist Spiritualism 3
불교학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3005 화엄학연구 Studies in Hua-Yen Thought 3
10103069 초기불교연구 Studies in primitive Buddhism 3
10103070 여래장사상연구 Studies in Ththagata-garbha 3
10103083 대승경전연구 Studies in Mahāyāna Sūtra 3
10103088 위진·남북조불교연구

Studies in Buddhism of North and South Dynas-

ties of China

3
10103091 정토학연구 Studies in Sukhāvatī Thought 3
10103093 선종사상사연구 Studies in Thought History of Cha’n School 3
10103095 한국불교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Korean Buddhism 3
10109056 산스끄리뜨불전연구 Studies in Sanskrit Tripitaka 3
10109057 아비다르마연구 Studies in Abidharma Buddhism 3
10109058 계율사상연구 Studies in Śīla-vinaya Thought 3
10109059 중관사상연구 Studies in Mādhyamika Thought 3
10109060 유식사상연구 Studies in Vijñāptimātra Thought 3
10109061 밀교학연구 Studies in Tantra Buddhism 3
10109062 천태학연구 Studies in Tien-Tai Buddhism 3
10109063 선어록연구 Studies in Analects of Cha’n School 3
10109064 불교문화론연구 Studies in Buddhist Culture 3
10109065 한국불교사상연구 Studies in Thought of Korean Buddhism 3
10109066 일본불교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Japanese Buddhism 3
10109067 남방불교연구 Studies in Theravāda Buddhism 3
10103099 현대불교연구 Studies on Modern Buddhism 3
10103116 불교문화답사 Buddhist Culture Field Study 1 3
10103117 불교문화답사 Buddhist Culture Field Study 2 3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3101 불교신행론 Studies on Buddhist Theories of Practice and Faith 3
10103118 불교명상론 Buddhist Meditation 3
10103119 불교심리학 Buddhist Psychology 3
10100326 명상의이론과실제 Meditation Theory and Skills 3
10103121 심리치료와명상 Meditation and Psychotherapy 3
10103122 불교수행과치유 Buddhist Practice and Healing 3
10103123 불교인생론 Buddhist views on the life 3
10103124 심신통합치유론 Healing Theory on the mind and body 3
10103125 불교명상과치유 Buddhist Meditation and Healing 3
10103126 MBSR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3
기학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8004 기공의학연구 Studies in Medical QiGong 3
10108005 내단사상연구 Studies in Thought of Internal Alchemy 3
10108008 생활기공연구 Studies of QiGong in Ordinary Life 3
10108009 기과학연구 Studies in Qi-science 3
10108011 유교수행론연구 Studies in Confucian Practice 3
10108026 기학연구 Studies in Qi-Philosophy 3
10108027 내단사상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Internal alchemy 3
10108028 내단수행론연구 Studies in Practice of Internal Alchemy 3
10108029 현대기공연구 Studies in Modern QiGong 3
10108030 기공원전연구 Studies in Original texts of QiGong 3
10108031 동양생리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physiology 3
10108032 도인법연구 Studies in Dao-yin 3
10108033 기학과풍수 Qi-Philosophy and Feng-Shu 3
10108034 비교기공연구 Studies in Comparative QiGong 3
10108038 기학과동양미학 Qi-scirnse and Oriental Aesthetics 3
10108039 한국도교사상연구 Studies in history of Taoist thoughts 3
10108040 도가사상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Taoist Thought 3
10108041 심신론연구 Studies in Theories of mind and body 3
10100318 성리학연구 Studies in Neo-confucianism 3
10108046 동양상담과치유론 Oriental Counsel and Cure 3
10108047 송대의기철학 Chi Philosophy of Song Dynasty 3
10108048 유불도교섭사

Negotiation History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3
10108049 노자와도교 Laotzu and Taoism 3
10108050 풍수와풍류 Feng Shui and Pung Nyu 3
10108051 동양의수양론 Cultivation of Orient 3
10108052 치료심리학 Psychology of Cure 3
10108053 동양문화와명상론 Oriental Cultue and Mediation 3
요가학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0323 신화와상징연구 Studies in Mythology and symbolic representation 3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0324 인도철학사 History of Indian Philosphy 3
10109033 아유르베다연구 Studies in Ayurveda 3
10103073 바가바드기따연구 Studies in Bhagavadgītā 3
10108036 요가심리학 Yoga Psychology 3
10109097 현대명상수행과실제 Theory and Practice on Modern Meditation 3
10109004 요가경연구 Studies in Yoga Sūtra 3
10109018 딴뜨라요가연구 Studies in Tantric Yoga 3
10109026 우빠니샤드연구 Studies in Upaniṣad 3
10109090 불교명상연구 Studies in Buddhist Meditation 3
10109034 요가우파니샤드 Yoga-Upanisads 3
10109046 베단따와갸나요가 Vedanta and Jhana Yoga 3
10109049 현대요가연구 Studies in Modern Yoga 3
10109055 베다연구 Studies in Veda 3
10109070 인도신화와요가 Indian Mythology and Yoga 3
10109072 동양종교와서양사상 Eastern Religion and Western Thought 3
10109073 요가생리학 Yoga Physiology 3
10109080 요가주석문헌연구 Studies in the Commentary of Yoga-sutra 3
10109087 샤이비즘연구 Studies in Śaivism 3
10109088 상캬철학연구 Studies in Sāṁkhya Philosophy 3
10109089 하타요가원전연구 Studies in Haṭhayoga Texts 3
10109092 요가문헌사 History of Yoga Literature 3
10109093 요가학이론과연구방법론 Theories and Methods in Yoga Studies 3
10109094 산스크리트기초 Basic Sanskrit 3
10109095 공공철학과요가학 Public Philosophy and Yoga Studies 3
10109096 요가치유프로그램연구 Studies in Program for Yoga Therapy 3

교과목 해설

원불교학연구 Studies in Won Buddhist Thought

원불교의 교의사상을 중심으로 원불교사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특히 원불교의 교의사상은 어떻게 성립되었으며 그 구조적 특징 은 무엇인가 그리고 전통종교사상과는 어떻게 대비되는가를 밝힌다 그 위에 최고 종지인 일원상에서부터 신앙문수행문 등으로 체 계화된 원불교의 교의사상을 총체적으로 해명한다

studies on establishment process of Won-Buddhist tenet and doctrine, its characteristics, and contrast to traditional religious thought. It holistically explicates on Il-Won-Sang, the highest essence of the order, and systematized tenet and doctrine of the gateways of the faith and the practice and so on.

불교학연구 Studies in Buddhist Thought

불교사상의 본질에 대한 개괄적인 연구를 대상으로 한다 주로 석존 정각의 내용과 불교교단의 성립 그리고 제도이념으 로서의 불교 사상의 체계와 구조를 분석한다 그 위에 원시불교의 경전과 인물 그리고 다른 종교와의 관계 속에서 전개된 사상의 추이를 해명한다

This is to general research on the essence of Buddhist thought. It mainly analyzes on the content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of Ś Buddha,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order, and the system and structure of Buddhist thought as an organization doctrine. Also, it elucidates canons and personalities of the early Buddhism, and transition of thought developed in the relation with other religions.

비교종교학연구 Studies in Comparative Religion

비교종교학의 연구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비교종교학의 목적과 의의 방법론 등에 대한 기본적인 시각을 확립하고 비교종교학의 전개과정에 대해 밝힌다. 그리고 불교와 기독교등 세계종교를 중심으로구체적인사례를 들어 비교종교의 실체에 접근해 나간다

This to systematically study on research methodology of comparative religion. It establishes on basic angle for object, significance, and methodology of comparative religion, and illuminates on development process of it. And focused on world religions, Buddhism and Christianity, it approaches to reality of comparative religion with their

동양예술사상연구 Studies in Thoughts of Oriental Art

본과목은 동양의 전통적 미의식과 예술이론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동양예술과 문화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특히 중국과 한국의 전통문화에 끼친 시론 문학론 서화론 등의 제 분야에서 예술형식론 예술창작론 예술 비평론의 성립과 변천과 정에 주목하여 탐구한다

This is to intensively comprehend oriental art and culture by surveying on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and art theories of orient. Especially, it investigate on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transition of art formalism, creation and critics, in various fields of theories of poetry, literature, caligraphy, and painting, in relation with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s.

역경연구

본 과목은 동아시아의 철학과 문화에 큰 영향을 끼친 주역을 심도 있게 탐구하는 과목이다 구체적으로는 역경과 역전의 성립과정을 살피고 여러 판본의 교감 및 원문강독을 통해 다양한 해석이 대두되기 이전의 원초적 의미를 탐구한다

This subject is intensively investigating on I-Ching which greatly influenced to philosophy and culture of East Asia. Specifically, it surveys o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I-Ching and related treatises, and examines on original meaning before appearance of various interpretations, through cross referencing of variety versions and reading of original text.

동양철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Philosophical Thoughts

본 과목은 동아시아의 전통문화의 기반이 되는 철학적 사유의 성립과 변천 및 그 현대적 의미를 탐구하는 과목이다 구 체적으로는 유불도를 중심으로 하여 자연관 인간관 수양론 정치사회사상 및 문화의식의 중요한 흐름을 공부한다

This is to investigate on establishment, transition and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philosophical thought being based of traditional culture of East Asia. Specifically, centered o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t studies on view of nature and human being, theory of practice, political social thought, and important flow of cultural consciousness.

노장사상연구 Studies in Thought of Lao Tzu and Chang Tzu

중국도가철학의 주류를 이루는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도덕경과 남화경의 전적의 구조를 분석하고 역사적인 전개와 사상적 특징을 해명한다

This is to systematically research on the thoughts of LaoZi and ZhuangZi whom are main stream of Chinese Taoist philosophy. It analyzes text structures of DaoDeJing and NanHuaJing, and elucidates on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 of thoughts.

전통문화콘텐츠론Traditional Culture Contents

전통문화사상을 콘텐츠의시각으로재해석해나가는방법론을모색한다 문화콘텐츠의 방법을도입하여전통의각종 문 화와 사상 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재구성해 나간다

This is to search for a methodology of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thought from the view point of contents. Introducing methodology of cultural contents, it studies for reconstruct various traditional culture and thought into new paradigm.

신화와상징연구 Studies in Myths and Symbols

예술의 중요한 표현방법의하나인 신화와 상징을 공부함으로써 예술의 원초적 근원과 그 상징적 표현방식을 탐구하자는 것이 목적 이다

This is to research on original source and it symbolic expression methods by studying on myths and symbols, important expression methods of art.

원불교해석학연구 Studies in Hermeneutics of Won Buddhist Scripture

원불교 교리해석방법론을 탐색한다 고도의 상징성을 포함한 교리사상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해석학 방법론을 도입하고 기존의 해석과 연구업적을 해부한다

This subject explores the hermeneutics of Wonbuddhist teachings. In order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highly abstract doctrines and thoughts of Wonbuddhism, this introduces the hermeneutics methodology and analyzes the established interpretation and achievement.

교사연구 History of Won Buddhism

원불교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이다 교단사를 이해하는 사관의 정립과 함께 교단제도와 교리전개에 대해 구체적으로 탐색한다 교 화나 인물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접근이 시도된다

This subject systematically analyzes the Wonbuddhist history. This suggests some ideas about historical perspectives and also stud- ies development of Wonbuddhist organizational foundation and doctrins. This approaches it from such areas as edification and historical figures.

불교교리사상사 History of Buddhist Thought

불교교리의 발달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이다 석존정각의 내용과 초기교단의 교리 대승시대의 교리 그리고 각종각파 로 분립된 교 판사상에 대한 기본시각을 제공한다

This subject studies systematically the history of Buddhist doctrinal development. This provides basic knowledge about Sakyamuni Buddha’s enlightenment contents, doctrines of the early Buddhist foundation, doctrines of Mahayana Buddhism era, and thoughts of buddhist sects and denominations.

예전연구 Ritual Text of Won Buddhism

현대인에게 맞는 예의범절을 바르게 연구하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특히 개인의 관혼상제를 중심으로 한 원불교의 예의 작법에 대해 모색한다 이상원불교 예전은 인간의 예의범절을 기준으로 하는통례 가례 교례로 되어있고예문등이있어인간으로 반드시 실천해야 할 예도를 학문화한 내용이다

This subject deals with manners and decorums which are proper for modern society. Especially, this explores Wonbuddhist de- corums-making with respect to individual’s doing-up-the-hair, marriage, funeral, and ancestor memorial. Wonbuddhist codes of decorums includes the general, the familial, and of Wonbuddhist orders.

교화학연구 Introduction to Sermon

교화학의 실천적 연구와 그 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This subject deals with the practices of edification and methodology.

정전연 Studies in the Canon

원불교의 기본경전인 정전을 구조적으로 접근해명한다 소태산의 대각세계와 그내용의 교리화과정 그리고 현행 정전 의체계를 연구한다

This subject approachs and analyzes the Wonbuddhist basic Scripture, Jeongjeon(cannon). It deals with Sotaesan’s enlightenment contents, its process of Wonbuddhist doctrinization, and the current structure of the Jeongjeon(cannon)

원불교학방법론

원불교학의 연구방법론을 모색한다 인문사회의 각종 분야를 섭렵하여 원불교학의 연구방법론을 개발하고 그간에 연구된 결과를 검토하여 방법론적으로 교학이론을 정립해나간다

This subject explores methodology of Wonbuddhist studies. Reading extensively a variet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t pur- ports to develop the methodology of Wonbuddist studies and to establish a theory of Wonbuddhist studie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findings.

신앙론연구 Belief of Won Buddhism

원불교의신앙체계를 구체적으로 연구한다 일원 즉 사은사은 즉 삼라만상으로 전개된세계를신앙의대상으로삼아나가는 원리 체계를 해명해나간다

This subject studies Wonbuddhist system of belief in detail. It attempts to explicate the principle of Wonbuddhism that the contents of Ilwon is the fourfold graces, and the contents of the fourfold graces is all things in the world.

수행론연구Practice of Won Buddhism

원불교의 수행체계를 구체적으로 연구한다 삼학정신수양사리연구작업취사으로 대표되는 원불교 수행의 원리를 밝히고 일원상의 수행을 정전의 수행편과 대종경의 수행품과 관련지어 해명한다

Practice of Won Buddhism provides a detailed research on the Practice of Won-Buddhism. The lecture is designed to understand Threefold Training both in the Jeongjeon and the Taejongkyong: ① Chŏngshin suyang (Cultivation of Spirit), ② Sari yŏn’gu (Inquiry into Facts and Principles), ③ Chagŏp-chwisa (Mindful Choice in Creation) as the Essential Way of Moral Cultivation.

교화방법론연구

실천교학에 바탕하여 일선교화의 방법론을 연구한다 다양한 교화사례를 분석하고 지역사회와 관련된 교화현장 상황을 이끌어갈 실천원리를 제공한다

Methodology of Won Buddhist Sermon provides a research method about the edification based on the practical study of Won-Bud- dhism by analyzing various cases of edification as well as by providing practical principles.

교단행정학연구 The Administration of Won Buddhist Order

원불교의 교단행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한다 교단의 제도조직법규를 비롯하여 인사재정 등 교단전반의 운영체계 를 해명 하고 각종 과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나간다

Administration of Won Buddhist Order provides som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Won-Buddhism by researching on the system, organization, and Laws and Regulations.

대종경연구 Studies in Scripture of Great Master

소태산의 언행록인 대종경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결집과정과 구조적 특징을 해명하고 수록 법문의 해석 내지 정전의 교리체계와 대비 고찰해나간다

Studies in the Scripture of Great Master provides a systematic research on the teachings of Master Sot’aesan, analyzing the structure and the historical compilation procedure of the Scriptures, interpreting the doctrinal system of the Jeongjeon.

일원상론연구 Studies in Il-Won-Sang Theory

원불교의 최고 종지인 일원상진리를 체계적으로 해석한다 일원상의 상징론에서 부터 일원 즉 사은 사은 즉 삼라만상으 로 전개되는 교리체계를 구체적으로 해명하고 신앙문과 수행문으로 구별하여 현실세계 위에서 구현해나가는 이론적 체 계를 연구한다

Studies in Il-Won-Sang Theory provides a systematic interpretation of The Truth of Irwonsang (the Circle), the symbol of the ultimate reality, which is enshrined as the object of religious faith (The Fourfold Grace) and as the standard of moral discipline (Threefold Training).

종교사회학연구 Studies in Sociology of Religion

종교학 연구분야의 체계와 함께 특수종교학의 주요분야를 차지하는 종교사회학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종교가 사회와 함께 전개 되어나가는 역사적인 의미를 해명한다

Studies in Sociology of Religion provides a systematic study on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societies and religions.

원불교교리형성사 The history of Won-Buddhism’s doctrin

원불교 교리는 소태산 원각성존의깨달음을 기점으로 하여 『원불교 교전』의 성립으로 일원상의 진리를 비롯한 사은사 요와 삼학팔 조 등 핵심교리가 확립된다 특히 원불교 사상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불교를 근간으로 한 유교도교 등의 영향속에서 이루어져 왔 음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원불교 교리를 성립사적으로 고찰하여 원불교 교리의 정체 성을 보다 면밀히 이해하며 교학사 상에 대한 심도깊은 연구를 수업의 목적으로 한다

The history of Won-Buddhism’s doctrine provides lectures on the main doctrines of Won-Buddhism, the Truth of Irwon as the object of faith(The Fourfold Grace) and practice(Threefold Training). One of main purposes of this class is to do a research on the identity of the Won-Buddhist thought and how it has been developed under some influence of Buddhism as well as Confucianism and Taoism in the historical perspectives.

사회조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사회조사방법론은 사회현상에 대한 경험적 방법론이다 질적 방법론과 양적방법론을 포함하며 조작적 정의 지표구성 측정 분석 등 의 개략적인 내용을 포함한다

Research methodology is a tool subject which deals with social phenomena empirically and includ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It introduces operational definition, indexes, measurement, and analysis.

한국신종교연구 Studies in Korean New Religions

신종교의 창립명분이 민중의 희망을 불러일으킨 점을고려하며 제반신종교들의 현황을 파악한다 후천개벽을 슬로건 으로한 천 도교 증산교 원불교 등을 집중 조망한다

Considering founding justification of new religions caused hope of people, present condition of general new religion is to be com- prehended. CheonDo-gyo, Jeungsan-gyo and Won-Buddhism are focused to be illuminated for put slogan of great opening at later heaven.

교화상담Edification Counseling

원불교 교화자로서 상담역할이 중요한 점을 인지 내담자의 심리와 교화의 상담기법을 통해 교도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마음 치유를 위한 중심으로 강의한다

This is to make student to perceive importance of counseling role in Won-Buddhist edification, to understand problems of the laity through psychology of interviewee and edification counseling technique, and to heal their mind.

정산사상연구 Studies in Jeongsan Thought

원불교 改名을 통해 어려운 시국 속에서 교단을 이끌었던 정산 종사의 생애와 사상을 중심으로 강의한다 정산종사법어와 한울안 한 이치에 등에 나타난 정산종사의 포부와 경륜을 탐구한다

Life and thought of Master Jeongsan who led the order in difficult period with changing name “Won-Buddhism”, is focused to study. His aspiration, experience and knowledge is researched through the Scripture of Master Jeongsan, HanUlAn HanYiChiEh and other texts.

교무론

종교를 직업으로 한 성직자로서 소태산 대종사의 분신으로서 원불교 교역자의 품위와 역할을 밝힌다 나아가 교리정신 에 나타난 교 무론 교화 현장에서의 교무론을 정립한다

The quality and role of Won-Buddhist minister are illuminated for a cleric and as a alter self of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Also, it establishes the theory for manifested in doctrinal spirit and edification field.

원불교와불교관계론 Studie in Relation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소태산 대종사는 대각 후불교를 연원으로 삼았음을 고려 원불교와 불교의 상생 관계 속에서 상호 정체성을 밝히면서 미래지향적 방향을 전개한다

This is to study for illuminating mutual identities in reciprocal relation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and developing future orienting direction, under the consideration that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had established Buddhism as the origin after his enlightenment.

원불교영성론 Studies in Won-Buddhist Spiritualism

21세기에 접어들어 영성이 중시되는 상황에서 원불교의 영성 개념이 무엇이며 영성함양의 방법들을 조망한다

This is to prospect on the concept of spirit in Won-Buddhism, and methodology of spirit cultivation, in 21st century, spirit em- phasized environment.

화엄학연구 Studies in Hua-Yen Thought

화엄경을 기반으로 하여 중국적 사유가 조화하여 인류 사유의 정화인 화엄사상이전 개되었다 중중무진의 법계연기 이론을 비롯하 여 십지사상과 선재의 편력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 불교의 절정에 대한 사유가 대상이다

Hua-Yen thought, the core essence of human thought has developed with the basis of Avataṃsak Sūtra and harmonization of Chinese thought. It studies the theory of repetitive undefiled dependant origination of dharma-realm, daśa-bhūmi thought, and various travels of Seonjae, which are peak thought of East-Asian Buddhism.

초기불교연구 Studies in primitive Buddhism

불교의 근본사상이 전개된 시기를 불타 재세 당시에서 불멸후 150년경으로 보고 이 기간에 나타난 사상경향을 초기불 교로 정의하 여 불교의 기초사상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4부 아함경과 니카야경을 기본자료로 삼아 이들을 비교하며 고찰 한다

Early Buddhism is generally being considered from the time of Śākamuni Buddha to around 150 years later of his mahāparinir- vāṇa. The thought tendency at this period defined as early Buddhism will be researched for basic thought of Buddhism. Four Āgamas and five Nikāyas are basic resources to be studied comparatively.

여래장사상연구 Studies in Ththagata-garbha

대승불교사상의 원점인 일체중생실유불성의 이념을 연구한다 여래장계 경전을 비롯하여 대승기신론 등의 전적을 해명 한다

This is to study the tenet of “All satient beings duly possess Buddha nature”, the origin point of Mahāyāna Buddhist thought. Sūras on tathāgata-garbha thought and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will be investigated.

대승경전연구 Studies in Mahāyāna Sūtra

대승의 출발은 기원 전후로 추정되는데 초기 경전인 반야경을 비롯하여 수많은 대승경전이 대를 이어 출현하였다 이 들 대승경전은 불타의 정신에 기반하여 출현당시의 시대정신을 함의하고 있다 이들 내용을 검토하는 것을 대상으로 삼 는다

Mahāyāna thought is considered commencing around 1st century BC. and AD. Beginning with the Prajñā-pāramitā-sūtra, var- ious Mahāyāna sūtras had established one by one. Those Mahāyāna sūtras are based on the spirit of Buddha and containing the spirit of the time when they had developed. Study on contents of them are the object.

위진·남북조불교연구

중국 불교는 후한 명제때에전해졌다고전해지는데이후 불교문화는위진남북조에이르러 그 꽃이 만개하였다교학의 연구 도 이 시기에충분한기반을이루었으며 이후 수당에이르러성숙된종파가출현하도록 하는 바탕이되었 다 이 시기의문화와교 학사상이 대상이다

Buddhism had transmitted to China at 223 AD. the time of Emperor Ming of later Han dynasty. Later, Buddhist culture was flourished at the period of Wei, Jin, and North and South dynasties. Researches on the Buddhist tenets had been done sufficiently at this age, which became the basis of appearance of matured Buddhist sects at Sui and Tang dynasties. the culture and doctrinal thought at this period will be studied.

정토학연구 Studies in Sukhāvatī Thought

정토삼부경에 바탕하여 이행도의 대표적 교설로써 전개된 정토사상을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특히 이 사상이 지닌 뛰어 난 민중성으 로 인하여 동아시아에 가장 널리 퍼지게 된 원동력을 찾아보고 정토경전의 정신과 정토신앙의 현상을 탐구한다

It will study on Sukhāvatī or Pure Land thought which was developed as representative tenet thought of the easy practice way based on three Sukhāvatī sūtras. Especially, it will research on original dynamic which made most pervasive in East Asia for its outstand- ing popularity, and investigate on the spirit of Sukhāvatī sūtras and the phenomenon of Sukhāvatīfaith.

선종사상사연구 Studies in Thought History of Cha’n School

불교 이전의 선 소승의 선 대승의 선을 거쳐 중국적 사유와 조화하면서 성립한 중국의 선종은 독특한 세계를 이루고 오늘날 전 세 계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불교 사조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이들 선종의 성립과 전개의 모티브를 탐구 하는 것이 목적이 된다 Meditation before Buddhism, dhyānas of Hīnayāna and Mahāyāna had succeeded to Chinese Cha’n in harmonization with their thought. Cha’n school established unique world of thought, and became one of the most worldly influencive Buddhist thoughts. This is to study on the motives of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Chinese Cha’n school.

한국불교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Korean Buddhism

선조한국에 불교가 수입된 이래 삼국 고려를 거치면서 불교교학과 문화가 그 꽃을 피웠고 억불의 조를 거치면서 민중성 을 몸에 익 히게 된 불교의 흐름을 탐구하는 것이 대상이 된다 교학자들 뿐만이 아니라 선종의 뛰어난 조사들의 사자상 승을 더듬는 것은 불교 에 대한 본질을 천착하는 동시에 한국인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데에도 유효하다

Since Buddhism had transferred to Korea at three dynasties era, its tenet, thought and culture had flourished through those periods and Goryeo dynasty, and myriads of sages had emerged in Korean Buddhism. Along with those factors, Korean Buddhism embod- ied the spirit of people. Those flows of Korean Buddhism will be studied. Researching not only eminent scholars, but also lineage of brilliant sages of Seon school will be simultaneously efficient for illuminating the essence of Buddhism and clarifying identity of Korean.

산스끄리뜨불전연구Tripitaka

산스끄리뜨어로 정비된 원전을 대상으로 강독을 실시한다 산스끄리뜨어의 해독능력을 제고시켜 불교연구 제 1차 자료 에 대한 접 근을 용이하게 한다

This is a reading on an original resource among Sanskrit canons. It will improve ability of reading Sanskrit text and make easy to approach on the primary resource for Buddhist studies.

아비다르마연구 Studies in Abidharma Buddhism

불멸후 석존의 가르침에 대한 분석적이고 사변적인 논의를 총체적으로 아비다르마라고 한다 논모를 설정하고 해석주석광설을 행 한 다음 이를 총체적으로 정비하여가는 과정이 연구대상이 된다

After mahāparinirvāṇa of Buddha, analytical and philosophical researches on his teaching is ovally called abhidharma. It will study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mātṛka, conducting analyzation, treatise, and explanation, and arranging generally.

계율사상연구 Studies in Śīla-vinaya Thought

상가에 들어가 수행하려는 비구 개인의 결의를 계戒 sīla, śīla)라 하고 상가 단체의 규칙을 율律 vinaya)이라 하며 이를 합하여 계 율이라 한다 이들 계율정신이 탐구 대상이 된다

중관사상연구 Studies in Mādhyamika Thought

이 불교의 중흥조로 불리는 나가르주나에 의하여 제시된 중관사상은 이후 대승불교의 사상적 근간되었다 중론을 비 롯한 그의 저작 들을 통하여 중관사상의 본질을 탐구한다

Mādhyamika thought which is presented by Nāgārjuna considered as the sage of Buddhist renaissance became the fundamen-tal core of Mahāyāna Buddhist thought. It will investigate on the essence of Mādhyamika thought with his works, including Mādhyamikakārika.

유식사상연구 Studies in Vijñāptimātra Thought

유식론사들은 해심밀경이나 대승아비달마집론의 사상을 이어받아 유가의 실천을 통해 유식의 체험을 심화하고 다 시 알라야식의 교 리와 종합하여 하나의 체계로 정리하였다 아상가와 바수반두를 거치면서 유식설은 대성하며 이들 유 식설은 후일 중관사상과 교류 하면서 고도의 철학체계를 형성한다

Yogācāravādin had succeeded the thoughts in Saṃdhi-nirmocana-sūtra, Mahāyāna-abhidharma-saṃnipāta-śastra and so on, deepened experience of vijñāptimātra with practice of yoga, and arranged as an independent system by synthesizing with the tenet of Ālaya vijñāna. Vijñāptimātra thought had settled by Āsaṅga and Vasubhandu, and constructed highly sophisticated philo- sophical system by inter-relation with Mādhyamika thought.

밀교학연구 Studies in Tantra Buddhism

밀교는 딴뜨라불교라고도 하는데 밀교의 의궤를 채용하는 불교라고 광범위하게 정의할 수도 있다 초기 밀교는 초기와 대승을 거치 면서 불교 안에 형성된 밀교적 요소이고 중기밀교는 대일경 성립 이후의 순밀을 말한다 후기밀교는 8세 기 인도에서 성립한 딴뜨리 즘의 전개와 함께 출발한 밀교를 가리킨다 이처럼 광범위하고 다양한 밀교적 습속과 문화에 대한 탐구가 그 대상이 된다

Tantric Buddhism, also called as esoteric Buddhism, can be defined as Buddhism adopting tantric manual of ritual, in wide sense. Early tantric Buddhism was tantric factors established through early and Mahāyāna Buddhism the middle period tantric Bud- dhism was pure esoteric Buddhism after establishment of Mahāvairocana-sūtra. Later tantric Buddhism designates esoteric Bud- dhism developed with influence of Indian Tantrism which was established at 8th century. These wide and diverse conventions and culture of tantric Buddhism will be intensively studied.

천태학연구Tien-Tai Buddhism

교와 관을 겸수하는 이론으로 시작되는 천태의 교리와 실천론이 연구의 대상이다 법화경의 교의에 바탕하여 일념삼 천의 이론과 지 관사상 등을 탐구하고 천태의 궁극인 성구사상의 본질을 천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s to study the tenet and practice theory of Tien-tai which begins with the thought of abreast practice of tenet study and insight practice. It studies the theory of three heavenly world in one think and the samātha and vipaśyana thoughts based on the tenet of the Lotus Sūtra.

선어록연구

팔만대장경으로 상징되는 수많은 경전을 부정하고 불립문자교외별전직지인심견성성불의 16자 종지로 요약되는 개혁적 불교는 아이러니컬하게도 팔만대장경에 필적하는선어록을우리에게남기고있다이들 어록은불교의중국적변용뿐만이 아니라당시의 불교와 생활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한 정보를 우리에게 제공해 준다

Cha’n school was a reformative Buddhism, denying all sūtras signified as Eighty-thousand Tripitaka, summarized in four essences of “no words to depend on”, “transmission apart from sūtra”, “directly pointing human mind”, and “seeing own nature and ac- complishment of Buddhahood.” However, it ironically remains Cha’n analects almost equal amounts to Eighty-thousand Tripitaka. Those analects provide us not only on Chinese transformation of Buddhism, but also on various informations including Buddhism at the time and general life culture.

불교문화론연구 Studies in Buddhist Culture

불교는 다양하며 매우 많은 문화를 형성하여왔고 오늘날에도 그 영향력은 상존한다 건축조각미술음악의례 등 다양한 분야에 대 한 불교문화를 탐구함으로써 불교의 본질에 더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교의 새로운 교화의 가능성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Buddhism has established various and many cultures, and its influence still remains at present day. Investigation on various Bud- dhist cultures, architecture, engraving, arts, music, ritual and so on, can approach to essential nature of Buddhism and can make us to prospect a possibility of new way of edification of Buddhism.

한국불교사상연구 Studies in Thought of Korean Buddhism

한국불교는 중국불교를 수용하여나름대로의 문화를형성하였을 뿐만 아니라일본에도불교를전하는가교역할을 수행 하였다또 한 원효의 화쟁사상을 비롯한 독특한 불교사상을 형성하였고 이후에도 실천성 높은 사상을 형성하였다

Korean Buddhism accepted Chinese Buddhism, built own peculiar culture and transmitted Buddhism to Japan. Also, Korean Bud- dhism had established unique Buddhist thought, beginning with the harmonizing argument thought of Wonhyo, and later other highly practical thoughts.

일본불교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Japanese Buddhism

일본불교는 한국과 중국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였으나 그 문화와 교학적 전통을 나름대로 구축하여 오랜 세월을 유지 하여 왔다 또한 현대에 있어서도 세계에 불교적 영향력을 크게 행사하고 있다 일본불교의 흐름을 깊이 천착하는 것은 중요한 작업이 된다

Japan accepted Buddhism from Korea and China, however, they established own culture and doctrinal tradition and maintained for long periods. They also have great Buddhist influence to the world at present. Research on the flow of Japanese Buddhism is very important work.

남방불교연구 Studies in Theravāda Buddhism

아쇼카왕에 의하여 스리랑카에 불교전도사들이 파견된 이래 주로 인도양 연안의 남쪽 지역에 남방불교 전통이 형성되 었다 이들은 부파시절의 교학을 비교적 충실하게 유지발전시켜왔고 오늘날에도 세계불교계의 흐름가운데 중요한 역 할을수행하고 있다 이 들의 교학을 탐구하는 작업은 불교의 고유형태를 아는 데에 매우 중요한 일이다

Since Buddhist propagandas had been sent to Sri Lanka by King Ashoka, Theravāda Buddhism had established its tradition around southern area of Indian Ocean. They substantially maintained and developed the tenet study of abhidhamma period also plays important role in the flow of world Buddhism at present. Studying on their tenet thought is very important to comprehend the original form of Buddhism.

현대불교연구 Studies on Modern Buddhism

현대사회 불교의 다양한 변화모습을 파악하고 새로운 변화의 움직임들 속에담겨있는 사상사적 의미와 사회적 의미등 에 대한연 구를 진행한다

It is to comprehend various changing figures of Buddhism in modern Society, and to research on meaning of the history of idea and sociial significance.

불교문화답사 Buddhist Culture Field Study 1

한국의 불교문화의 현장을 직접 답사하여 한국문화 속에 담겨있는 불교사상의 의미와 문화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은 매 우 의미있 는 일이다

Directly visiting the field of Korean Buddhist culture and surveying on the Buddhist and cultural meanings in Korean tradition are very meaningful.

불교문화답사

불교문화의 발생및 전개현장을 직접답사하여 확인하는 것은불교사상의 의미와 문화적 의미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매 우 의미있 는 일이다

Direct field study of sites of origin and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e is significant for research on the Buddhist and cultur- al meanings.

불교신행론 Studies on Buddhist Theories of Practice and Faith

불교에서 실제 행해지고 있는 신앙과 수행의 직접적인 방법과 원리등에 대하여 탐구하고 그 변화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있 는 연구대상이다

This is to study direct methods and principles of actually conducted faith and practice in Buddhism and to comprehend it modes of transformation.

불교명상론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명상의 유형 속에서 불교 명상의 동일점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불교적 명상 방법 을이론적 으로 실제적으로 실천해보는 과목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Buddhist meditation among the various types of meditation in the modern Society and to practice the methods of Buddhist meditation in the both views of theory and implementation.

불교심리학

오묘한인간의마음을탐구해온 불교는초기불교부터 유식학까지 방대하면서도 심오한심리학체계를구축해왔다특 히 삼법인 사성제 십이연기 팔정도 등 초기 불교심리학 및 이를 이론적으로 더욱 완벽하게 정립해 놓은 유식사상의 심리학적 이해를 통해 인간의 근원적인 고통과 그에서 벗어나는 길을 탐구하며 이를 현대상담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 한다

Buddhism, which seeks profound and mysterious human mind, has long constructed the system of deep psychology from early Buddhism to Yogacara thought. Especially, through Yogacara thought that includes the base and theory of buddhist psychology such as three marks of existence(三法印 the four noble truths(四聖제 Sibiyeongi(십이연 기 Noble Eightfold Path(팔정도 and etc., this course is to seek a way against human original affliction and a way for modern human counsel.

명상의이론과실제 Meditation Theory and Skills

명상가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철학태도 및 가치에 대한 자기이해 증진도모와 더불어 원만한 명상 지도과정 진행을 위해 습득해 야 할 다양한 명상방법과 기술을 강의하며 실습 및 시청각자료 등을 통해 학습한다

This course includes lectures, practice, and visual clips related to philosophical attitude and values, meditation methods and tech- niques which meditators are required to follow.

심리치료와명상 Meditation and Psychotherapy

상담 및 심리치료 주요 학파들의 특징들을 각 이론의 기본 개념 역사 발단 현상태 성격이론 심리치료이론 심리치료 과정 심리치 료 기제 적용 및 사례연구 등의 구분으로 개관하여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러한 치료의 방법론 이 명상과 접목될 수 있 는 부분을 모색하는 과목이다

This course has the educational goal to understand basic concepts, history, development, and personality theory and to review process, methods, and case studies on psychological therapy. Also, it seeks a way to connect meditation to the methods of healing therapy.

불교수행과치유 Buddhist Practice and Healing

전통적인 불교의 다양한 수행방법이 인간의 본성에 대한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에 바탕하여 현대인 의 심신간 치 유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과목이다

This course is to review the approach of various ascetic methods to human origin from traditional buddhism and to understand its effect to treatment on modern human’s body and mind.

불교인생론 Buddhist views on the life

불교의 철학적 관점과 교리적 내용들이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 이를 실제적으로 삶에 적용 시킬 방법을 알아보는 과목

This course is to study the effect which the philosophical views and contents of Buddhism has to human life, and to find a way for practical use in human life.

심신통합치유론 Healing Theory on the mind and body

심신치유이론에근간한 불교적 치유프로그램을 직접 실시해보고그에 대한 참여자와 지도자의 피드백을 통한 보완 및 수정의 과정 을 통해 심신통합치유전문가로서의 자질을 갖게하는 과목

This course includes the buddhist healing program on the healing theory for the mind and body, and is to build up the ability as a unified healing specialist through complement and modification based on feedbacks between guide and participants.

불교명상과치유 Buddhist Meditation and Healing

불교 전통에서 수행되어 온 각종 명상의 방법들이 현대인의 심신간 치유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 지를 알아보며 이를 이론화 하며 프로그램화하는 실습을 통해 불교명상치유가로서의 자격을 갖게 하는 과목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what effect various meditation methods from traditional buddhism exert on healing human’s body and mind, and to have the ability as a healing specialist of buddhist meditation through theory and practice.

MBSR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현대 심신치유의 중심으로 부상한 MBSR 프로그램을 연구 체험하는 한편 심신의학에의 응용가능성을 탐구한다 제 1회 기부터 8 회 기 까지 실제 수업을 미국 MBSR 본부 (CFM) 에서 가르치는 방식을 중심으로 중요한 기법을 익히고 MBSR 프로그램을체험하는 데 중점을 둔다 MBSR 심화 MBSR 지도법과 연계된 과목

This course is to study and perform MBSR as a core of modern healing for body and mind and to find the possibility applying to the medical view. Students learn and experience the important techniques in MBSR center in U.S. for total 8 sessions. It is a MBSR intensive course related to MBSR teaching method.

기공의학연구 Studies in Medical QiGong

기공학의 중요한 영역인 의료기공의 분야를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황제내경 동의보감을 중심으로 한 동양의학의 이론과 기공학의 상호관계를 살피고 기공치료의 연구업적을 종합 검토한다

This is to systematically study medical QiGong, an important area of QiGong studies. It will research on inter-relation between QiGong and theories of oriental medicine centered on Huangdi Neijing and Dongeui Bogam then, put together and verify the research achievement of QiGong treatment.

내단사상연구

기공양생의 핵심영역인 내단 외단사상의 성립과정과 이론적 틀 실천방법론을 연구한다 구체적으로는 내단 고유의 심 신관 성명쌍 수의 수행이론 및 수행의 단계와 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It studies establishment process and theoretic frame of Neidan and Waidan thought, the core field of QiGong Yangsheng. Especial- ly, it systematically researches for Neidan’s unique mind and body theory, principle and life abreast practice theory, methodology and stages of practice.

생활기공연구 Studies of QiGong in Ordinary Life

현대인의 일상생활에 기공수련이 활용되는 영역을 연구한다 오금희 태극권을 중심으로 한 도인법을 비롯하여 기공체조 와 기공무 예 및 단전호흡 명상 등 생활 속의 건강양생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It studies for applicable field of QiGong Practice in daily life of contemporary people. Daoyin methodologies centered on Wuqinxi and Taichi, QiGong exercise, QiGong marshal arts, inner elixir field breathing, meditation and other health YangSheng methodol- ogies are widely and intensively investigated.

기과학연구 Studies in Qi-science

기에 대한 과학적 탐구의 흐름을 연구함으로써 기공학의 과학적 기반을 점검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의 과학적 정의 기의 측정 기산업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신과학운동과 기과학의 학문적 연관관계를 검토한다

It is to clarify scientific basis of QiGong by study on the flow of scientific research on Qi. Specifically, it searches for scientific definition and possibility of measurement and industrialization of Qi, and investigates for academic relation between neo-science movement and Qi-science.

유교수행론연구 Studies in Confucian Practice

맹자의 호연지기와 대학의 수행법으로부터 송명 이학의 정좌법에 이르는 유교수행의 흐름을 연구한다 이를 도덕적 의 리실천을 통 한 기질변화를 모색하는 유교 특유의 도덕적 수행이론과 생명추구의 정신을 연구한다

It studies the flow of Confucian practice from the grand spirit of Mencius and Daxue’s practice methodology to right sitting meth- od of neo-Confucianism at Song and Ming dynasty. Unique Confucian ethical practice theory searching transformation of nature by moral practice of righteousness, and life centered spirit are subject to be studied.

기학연구 Studies in Qi-Philosophy

기학의 성립과 역사적 발전과정을탐구하고 기공양생을중심으로 한 제반 기공이론이철학 과학 의학 예술 체육 등 각 영역과 만 나는 학문적 접점을 분석하여 현대사회에서의 학문적 과제를 검토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한다

It studies establishment and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analyzes academic contact point of which general Qi-philosophy the- ories centered on QiGong YangSheng meet various fields of philosophy, science, medical science, art, physical exercise and so on. Also, its academic issues in contemporary society will be investigated and desirable direction be searched.

내단사상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Internal alchemy

방선도로부터 한말에 이르는 초기내단사상의 성립으로부터 당의중현학 당말송초의 여동빈 진단등을통해내단사상의 중흥과정 을 살펴본다 전진교와 남파의내단사상이 지닌 특징을검토하고명말 청초의삼교융합적 경향을살펴봄으로써 내단사상의 변모과 정을 개관한다

This is to research the establishment of early Neidan thought from FangXianDao to later Han dynasty, and the revival of Neidan thought through ZhongXuan studies of Tang dynasty, Lu Dong-bin and Chen Tuan of end of Tang and early Song dynasties. Also, it generally comprehends changing feature of Neidan thought by examining character of Neidan thoughts of QuanZhen school and Nan school, and studying three religions combining trend at end of Ming and early Ching dynasties.

내단수행론연구 Studies in Practice of Internal Alchemy

기공양생의 핵심영역인 내단사상의 이론적 틀과 실천방법론을 연구한다 구체적으로는 내단 고유의 심신관 성명쌍수의 수행이론 및 수행의 단계와 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It studies establishment process and theoretic frame of Neidan and Waidan thought, the core field of QiGong Yangsheng. Especial- ly, it systematically researches for Neidan’s unique mind and body theory, principle and life abreast practice theory, methodology and stages of practice.

현대기공연구 Studies in Modern QiGong

현대사회에 대두된 새로운 신영성운동을 비롯한 다양한 기공의 유파를 살펴보고 그 이론적 바탕과 실천적 특징을 살펴 본다 이를 통 해 현대사회에서의 바람직한 기공문화의 방향을 탐색한다

Various trends of QiGong, including newly appeared New-age movement in contemporary, and their theoretic basis and practical feature will be studied. Then, we will search of desirable QiGong culture in present society.

기공원전연구 Studies in Original texts of QiGong

기학 관련 원전을 강독함으로써 원전해독의 능력을 높이고 깊이 있는 학문적 접근의 기초를 배양한다

Reading of original resources of QiGong will improve capability of interpreting primary resources and basis of academic approach.

동양생리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physiology

한의학적 인체관이나 생리학 질병관 및 경락학의 성립과정과 이론적 바탕을 검토하고 기공수련과의 관련성에 관해 탐 구한다

It is to examine on the establishment and theoretic basis of Oriental medicine’s view on human body, physiology, view on disease and JingLuo principle, and investigate on their relation with QiGong practice.

도인법연구 Studies in Dao-yin

도인법의 형성과 역사적 흐름 및 이론적 틀을 살펴보고 오금희 태극권 팔단금 등 다양한 도인법의 특징을 검토한다

This is to study establishment, historical flow and theoretic frame of DaoYin, and examine for characters of various DaoYin prac- tices, including Wuqinxi, Taichi, and BaDuanJin

기학과풍수 Feng-Shu

기학의 다양한 전개방향에서 풍수사상이 지니는 위치를 살펴보고 기공학과 풍수학의 상호관련성을 검토한다

This is to study on status of Feng-Shui in various developing directions, and examine inter-relation of QiGong and Pen-Shui.

비교기공연구 Studies in Comparative QiGong

유불도의 수련이론과 방법의 큰 틀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기공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모색한다 나아가 내단사상과 요 가수행론을 비교 검토한다

Comparison of practice theories and methodological frames amo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each other will help general understanding on QiGong. Also, it studies and comparatively examines on Neidan thought and Yoga practice theory.

기학과동양미학 Qi-scirnse and Oriental Aesthetics

본 과목은 동아시아 미학에 끼친 기학의 영향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의 개념이 정착되기 시작한 전국시대부 터 유가 및 도가의 문예사상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 위진시대로부터 당송대에 이르는 書論 畵論 文論 詩論등 인문의 각 영역에 기의철학 이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살펴본다

This is to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Qi-Science to oriental aesthetics. Also, we studies fot its influence to literary trends fo Con- fucianism and Taoism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s settling Qi concept, and its philosophical application on humanities area of caligraphy, painting, literature, and poetry theories between Wei-Jin and Tang-Song periods.

한국도교사상연구 Studies in history of Taoist thoughts

본 과목은 한국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선도적 심신수련의 흐름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유사상의 선도적 성격 중국 내단사상 전래 이후의 변천과정과 조선단학파의 흐름 및 선도적 사유의 근대적 변모에 관해 공부하고 그 현 대적 의미를 고찰한다

This is to study flow of mind-body practice in Korean traditional Seondo, originated at ancient age. Also, we studies for Seondo character of traditional thought, transformation progress after transmission of Chinese Neidan thought, flow of Dan school of Choseon, modern change of Seondo way of thinking, and their contemporary significance.

도가사상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Taoist Thought

초기 도가로부터 황로학현학중현학근대 이후의 도가 등 도가사상의 역사적 흐름과 변모과정을 연구한다 나아가 도가 사상이 기 학의 전개과정 및 도교수련의 형성에 끼친 영향을 공부한다

From early Taoism, HuangLao, Xuan, ZhongXuan studies, to Taoist schools after modern era, historical flow and transition of Taoist thought are subject of study. Also, it studies for influence of Taoist thought to development of Qi-science and establishment of Taoist practice.

심신론연구 Studies in Theories of mind and body

동서양이 심신론의 흐름에 비추어 동아시아적 심신론의 성격과 흐름을 탐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유불도 삼교간의 심신 론에 대한 상호 교섭과 이에 관련된 수행론의 제문제를 연구한다

Considering mind-body theories of East and West, it researches on character and flow of East Asian mind-body theory. Specifically, amo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ir inter-relation on mind-body theory and

성리학연구 Studies in Neo-confucianism

성리학의 이기론을 중심으로 한 각종 논쟁과 그 의미를 통해 사상적 의미를 추구하고 이기론의 변천과정과 그 과정 사 이의 상호관 계를 밀도있게 검토하여 원불교 교리와 사상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을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Focused on Li(principle) and Qi(energy) theory in Neo-Confucianism, it searches for philosophical meaning by investigation of various arguments and their contents. Also, transition and relation between each process are intensively investigated for compre- hending inter-relation with Taoist thought.

동양상담과치유론 Oriental Counsel and Cure

상담을 통한 심신 치유문제를 접근한다

Counsel approaches the cures mind soul.

송대의기철학

송대철학 가운데 기철학에 대한 초점을 둔다

Chi Philosophy is focussed on among the Song Dynasty-Philosophy.

유불도교섭사 Taoism

유불도 삼교사상의 만남을 조명한다

This Subject is related to studying Chi Philosophy is focussed on among the Song Dynasty-Philosophy.

노자와도교 Laotzu and Taoism

노자사상과 도교의 상호 관계를 중심으로 접근한다 Laotzu and Taoism is on the mutual exchange each other.

풍수와풍류 Feng Shui and Pung Nyu

풍수가 풍류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밝힌다

The Study reveals How Feng Shui and Pung Nyu is related to.

동양의수양론 Cultivation of Orient

동양사상에 있어서의 수양방법론을 접근한다 Cultivation of Orient thought is to studied on its ways.

치료심리학 Psychology of Cure

인간고통의 문제가 심리학적으로 치유되는 것을 다룬다

The problems of Human beings’s sufferings deal with Psychology of Cure.

동양문화와명상론 Oriental Cultue and Mediation

동서의 명상 가운데 유불도 측면의 명상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This subject is on Meditation of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between East and West meditation.

신화와상징연구 Studies in Mythology and symbolic representation

신화에서 설명되는 상징적 표상과 요가의 신비주의적 관점을 연구한다

It is studied symbolic ideas explained in mythology and mystical point of view in Yoga.

인도철학사

요가가 인도에서 기원한 이론체계이자 실천체계인 이상 인도철학사를 아는 것은 요가에 대한 앎을 확장시킨다 이에 인도철학이 전 개되는 역사와 그 주요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요가의 사상적 배경을 이해한다

As far as Yoga is a theoretic and practical system originated from India, to know the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extends the knowledge about Yoga. By knowing the history and main characteristics of Indian philosophy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Yoga will be made out.

아유르베다연구 Studies in Ayurveda

아유르베다는고대인도 의료철학의정수를 담고 있는 문헌이다요가의 치료적인 측면과 결합되어 온 이 문헌을 통해 요가에서 나타나는 심리적이고 육체적인 치유의 기원과 구조를 이해한다

Ayurveda is a text carrying the essence of medical philosophy in the ancient India. Through this text that contains the therapy aspect of Yoga,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origin and structure of mental & physical therapy in Yoga.

바가바드기따연구Bhagavadgītā

바가바드기따는 고전요가 이전의 요가를 집대성한 문헌이자 고대 인도 수행법의 정수를 담고 있다 이 문헌을 통해서는 지혜의 요가 행위의 요가 신애의 요가 인도의 일반적인 수행론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Bhagavadgita, a compilation of the pre-Classical Yoga, shows the essence of methods of practice in the ancient India. The general methods of practice in India such as the Yoga of wisdom, the Yoga of action, the Yoga of devotion would be sketched in this class by means of this very famous text.

요가심리학Yoga Psychology

요가는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학문이기도 하다 요가심리학에서는 서양 심리학과 요가 심리학의 비교 요가 심리학의 주요 문제점과 특징 심리 분석의 방법을 연구한다

Yoga is a science that presents the methods of mind-control systematically and concretely. In the class of Yoga Psychology there are thorough investigations on such things as a comparison between Western Psychology and Yoga Psychology, main problems and features of Yoga Psychology, the method of Psychological analysis, etc.

현대명상수행과실제 Theory and Practice on Modern Meditation

정신적이고 영적인 수행으로서 명상에 대해 그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는 동시에 직접적으로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Meditation is necessary as a mental or spiritual practice in Yoga together with the physical one. There are opportunities in this class to overview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meditation as well as to experience meditation itself personally.

요가경연구 Yoga Sūtra

요가수뜨라는요가를 연구하는 데 가장 기초적인 원자료이다이 경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요가의 근본 목적과 실천 수행 및 그 결과에 대해 명확한 이해를 얻고자 한다

Yogasutra is a basic source material in the study of Yoga. The aim of studying this text is to obtain a clear understanding on the main purpose of Yoga, the essential methods of Yogic practice, the result of Yogic practice.

딴뜨라요가연구 Studies in Tantric Yoga

후대 인도를 석권한 딴뜨리즘은그 자체가 일종의 통합적 힌두 문화이다 딴뜨리즘 문화는 요가의 이론과 실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므로 이를 통해 요가 수행의 통합적인 관점을 배울 수 있다

Tantrism is in Itself a sort of integral Hindu culture overwhelmed the later Indian history. As Tantric culture made a great influence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Yoga, it may be as much as possible to learn the integral points of view in Yoga through that culture.

우빠니샤드연구Upaniṣad

해탈을 목적으로 하는 인도사상의 시발점인 우빠니샤드 원전을 통해 인도사상의 기본 구조를 이해한다 동시에 고전요가 이전의 요가사상을 살펴봄으로써 요가 형이상학과 수행론의 기원에 대해 이해의 폭을 넓힌다

In this class the basic structure of Indian thoughts is to be apprehended in the studies of Upanisads, a starting point of Libera- tion-oriented Indian thoughts. At the same time, the origin of metaphysics and theory of practice in Yoga is also to be grasped in viewing the thoughts of pre-Classical Yoga.

불교명상연구 Studies in Buddhist Meditation

불교명상은 비록 요가명상과 그 이론적 배경과 구체적 수행법을 달리 할지라도 요가를 더 심도 있게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 이다 불교명상의 이론을 연구하고 방법을 실습한다

Although Buddhist meditation called Vipassana differs from Yogic meditation in its theoretical background and its concrete meth- od of practice, it is quite helpful to understand Yogic meditation profoundly. This class deals with the theory and practice of Buddhist meditation.

요가우파니샤드 Yoga-Upanisads

후대 요가는 고전요가 하타요가 베단따 철학 샤이비즘 등 다양한 요소를 포괄하는 통합적 요가의 형태이다 이에 20여 개의 요가우 파니샤드에 나타난 후대 요가의 이론과 실천을 들여다본다

Yoga in the later times in India has the form of integral Yoga inclusive of the Classical Yoga, Hathayoga, Vedanta philosophy, Saivism, etc. With regard to this situation the study goes through twenties Yoga Upainisads in which the later Yoga theory and practice are well-established.

베단따와갸나요가 Vedanta and Jhana Yoga

해탈을 추구하는 인도 사상 가운데 가장 정통적이라고 알려진 베단따 철학을 탐구하는 것은 이와 유사한 상캬 철학과 요가 철학을 이해하는 데 여러 시사점을 줄 것이다

Vedanta is the most orthodox system in Indian philosophy. To study this School is indispensible not only to overview Indian thoughts in general but also to understand Samkhya School and Yoga School in particular.

현대요가연구 Studies in Modern Yoga

현대요가란 인도에서 기원한 요가가 서구 문화와 접촉하면서 현대적으로 변형된 형태이다 현대요가의 다양한 기법과 장단점을 검토해 보면서 요가의 미래에 대한 전망을 모색해 본다

Modern Yoga is a modified form of the ancient Yoga in consequence of the contact between Western culture and Indian culture. This class aims at the researches on the various technique of modern Yoga,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the vision of Yoga in future.

베다연구 Studies in Veda

베다는 인도 문화의 보고이다 따라서 인도학 인도철학 요가학을 공부하기 위해서는 베다에 나타나는 신과 인간의 관계 인간 행위 와 도덕 제식과 수행 등에 관해 기본적인 이해를 갖추어야 한다

In India Veda is a treasure house of Its culture. To study Veda paves the way to the basic knowledges for Indology, Indian philos- ophy, study of Yoga, since Veda teaches many things such as the relation between gods and human beings, human activities and morality, the rituals and practice, etc.

인도신화와요가 Indian Mythology and Yoga

인도 대중의 삶에 녹아 있는 인도신화의 여러 양상을 분석적으로 또 통찰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요가 사상과 요가 수행이 가지는 문화적 의의와 가치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Yoga can be accepted to be a spiritual discipline as well as a peculiar culture. In this way it is a commendable way to understand Yoga as a culture by looking into the various aspects of Indian Mythology, being a representation of ordinary lives of the general public. After all Indian Mythology can arouse the cultural significance and value of Yogic theory and practice.

동양종교와서양사상 Eastern Religion and Western Thought

동서양의 다양한 종교적 철학적 개념들을 비교하고 고찰함으로써단순한 동양학으로서의요가가 아니라 그것이 현대적 의미로 널리 재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한다

So far as Yoga is a discipline of Eastern religion, It can be compared with Western Thought. In the light of scientific concepts of the West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concepts of Yoga can be redefined and reinterpreted in the modern sense.

요가생리학 Yoga Physiology

짜끄라이다삥갈라수슘나나디 등 요가의 생리학적 요소들을 학습하고 그 요소들과 정신적 자유의 상관관계를 검토한다 생리학에 대한 동서양의 공통점과 차이점도 비교 검토한다

In this class the factors of Yoga Physiology such as cakra, ida, pingala, sushumna nadi etc. are studied mostly in terms of Hathayoga. Besides,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spiritual freedom is also investigated in terms of integral Yoga. The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of the East and the West concerning with Physiology are also studied here.

요가주석문헌연구 Studies in the Commentary of Yoga-sutra

요가수뜨라에 대한 주석 방식과 그 다양한 주석의 내용을 심도 있게 연구한다 요가의 여러 주석문헌을 통해 요가의 주요 개념과 요가체계의 시대적 변천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class focuses on deeply the method and discussion of commentary on Yogasutra. Through this study of the various commen- taries of Yogasutra it is possible to look around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times about the main concepts and systems of Yoga.

샤이비즘연구Śaivism

고전요가 이후에 요가의 이론과 실천에 큰 영향을 미친 쉬바교의 종교 사상을 연구한다 특히 하타요가의 형이상학적 관점과 딴뜨라 요가의 체계를 이해하는 데 샤이비즘은 필수적이다

There are two religious systems in India one is Vaisnavism the other Saivism. However, as far as Yoga is concerned, the influence of Saivism on Yoga in theory and in practice is extremely large. To understand the metaphysics of Hathayoga and the system of Tantrayoga in terms of Saivism is able to widen our views on Yoga.

상캬철학연구āṁkhya Philosophy

상캬철학은 요가철학의 자매학파로서 고전요가에 형이상학을 제공할뿐더러 요가의 주요 용어를 이해하는 기틀을 제공한다 더욱이 상캬철학은 인도 사상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도 매우 중요하다

Samkhya as a sister School of Yoga presents not only the metaphysical background to Yoga but the pivotal point to understand Yoga concepts. Beside, Samkhya as a philosophical system is very much important to overview the current of Indian thoughts.

하타요가원전연구Haṭhayoga Texts

오늘날 요가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하타요가를 그 원전을 통해 연구한다 하타요가의 세계관 우주관 인간관 등을 바탕으로 하여 그 수행법을 세밀하게 검토한다

Recently the main current of Yoga is Hathayoga sine dubio. Here, the study is related to the reading of texts such as Hathayo- ga-pradipika etc. Through these texts the examination undertakes a view of the world, an outlook on the universe, an outlook on human being, the methods of practice in Hathayoga.

요가문헌사 History of Yoga Literature

인도에서 발생한 요가의 전통들을 문헌 중심으로 개괄함으로써 요가문헌 연구에 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한다

The purpose of this subject is to acquire the basic knowledge of the study on the Yoga Literature by summarizing the yoga traditions focused on the literatures which appeared in India

요가학이론과연구방법론Yoga Studies

요가학이론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와 연구 방법론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통해 요가학이론과 연구방법론은 정립한다 논문과 과제 보고서 작성을 위한 여러 국내외 학술논문을 분석하고 연구한다

In this class, Theories and Methods in Yoga Studies are analyzed and studied.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materials for the thesis and essay will be analyzed

산스크리트기초

산스크리트어에 대한 기본 구조를 익힘으로써 요가 용어의 원래 의미를 파악한다

Through this study of basic sanskrit, can understan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yogic terms.

공공철학과요가학Yoga Studies

사회정의와 공공의 이익을 위한 철학적 이해와 공익을 위한 요가의 보편성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공공선이 지향하는 바 를 모색한다

It is aimed in pursuit of the public philosophy and ethics through the study of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for the social justice and public benefit and the study related the universality of Yoga

요가치유프로그램연구 Studies in Program for Yoga Therapy

고전요가와 하타요가의 체계적인 수련 방식을 통해서 현대인의 스트레스와 만성적인 피로 증후군 뿐 아니라 정신적인 안정을 얻기 위한 프로그램과 실습방법을 연구한다

This class focuses in the Classical and Hatha Yoga therapy system. Hereby this class offer the beneficial program and practice for spiritual comfort to the stressful modern human 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