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문화학과

한국문화학과

Department of Korean Culture

학위과정 :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전 공 명 : 동양문화학 (Oriental Culture)

학 위 명 : 문학석사 (Master of Arts)

문학박사 (Doctor of Arts) 후드색상 : 석사과정 : 흰색 (White)

박사과정 : 흰색 (White)

학과 교육목표

  1. 한국사상과 문화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전통사상과 문화를 새롭게 해석하는 통찰력을 기른다
  2. 한국 생활문화와 고문헌 전통적 문화재 독창적 사상 등에 관한 자료를 발굴․정리하 여 한국문화에 관한 자료를 분석하고 집성하는 역량을 기른다
  3. 동양사상과 문화에 관한다양한 요소들을 새로운 문화적 자산으로 재창조할 수 있는 창의적 역량을 확충한다

학과대학원 위원회

성명 직위

류성태 교수

이남희 교수

박광수 교수

허  석 조교수

편성교과목

석사선수과목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1500101 한국불교사상과문화 Thought and Culture of Korean Buddhism 3
11500102 한국민속문화 Korean Folk Culture 3
11500103 동양예술사상의이해 Comprehension of Eastern Aesthetic Thought 3
11500110 동양의차문화 Tea Culture of Asia 3
11500105 문화재와콘텐츠 Korean Assets and Content 3
11500106 한국문화전승기획론 Theory on the Transmission of Korean Culture 3
11500107 한국유교사상과문화 Thought and Culture of Korean Confucianism 3
11500111 한국종교문화사 History of Korean Religious Culture 3
11500109 문화정보미디어론 Cultural Information Aeshetic Thoughts 3
박사선수과목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7078 불교사상사연구 Studies on History of Buddhist Thought 3
10106018 동양인간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Anthropology 3
11503001 문화콘텐츠학 Introduction to Culture Content 3
11504016 문화사 Cultural history 3
10100315 동양철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Philosophical Thoughts 3
10107088 다도학개론 Introduction to Tea 3

공통과목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0301 불교학연구 Studies in Buddhist Thought 3
10100315 동양철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Philosophical Thoughts 3
10100316 노장사상연구 Studies in Thought of Lao Tzu and Chang Tzu 3
10100319 동양문화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culture in Oriental 3
10100322 전통문화콘텐츠론 Theories of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3
10100361 현대명상과수행문화

Modern Practice of Meditation and Practice

Culture

3
10100360 한국고문헌연구 Studies in Korean Ancient Writings 3
11504002 화론연구 Study on Painting Theory 3
10107011 서론연구 Studies in Calligraphy-Thesis 3

전공과목

동양문화학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6016 주역해석사 History of Interpretation of I-ching 3
10106017 음양오행연구 Studies in Theories of Yin and Yang 3
10106018 동양인간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Anthropology 3
10106019 체상학연구 Studies in Images and forms of Qi 3
10106020 명리학연구 Studies in Principles of Ming Li 3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6021 명리학사연구 History of Ming Li Principles 3
10106022 풍수학연구 Studies in Thoughts of Feng-Shu 3
10106023 풍수학사연구 History of Feng-Shu Thoughts 3
10106024 역경과술수학 I-Ching and Shu-Shu 3
10106025 고천문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Archaic Astronomy 3
10106026 상수역학연구 Studies in Images and Symbols of I-ching 3
10106031 역학고전연구 Studies in classics Treatise of I-Ching 3
10106027 도교철학연구 Studies in Philosophy of Religious Taoism 3
10106028 동양생태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Ecology 3
10106029 동양상담론연구 Studies in Oriental Counselling 3
10106030 명리고전연구 Studies in classics of Ming-li 3
10106032 기학사상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Qi-Philosophy Thought 3
10106033 천명사상연구 Studies in Tian-Ming Thought 3
10106038 음양오행과성명학 YinYang-WuXing and Naming 3
10106039 현대상학연구 Study on modern Ti-xiang 3
10106040 고전상학연구 Study on ancient Ti-Xiang 3
10106041 유가철학연구 Study on Confucius philosophy 3
10106043 중국철학사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3
10106044 풍수고전연구 A Study of Feng Shui Classic 3
10106045 명리상담론 Counsel Of Ming Li 3
10106046 유불도운명론 Destiny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3
10106047 관상의심상론 Mind in Physiognomy 3

문화콘텐츠학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1503001 문화콘텐츠학 Introduction to Culture Content 3
11503003 문화콘텐츠산업론 Research on Culture Content Industry 3
11503004 문화콘텐츠정책론 Research on Culture Content Policy 3
11503006 문화콘텐츠마케팅

Marketing Research in Culture Content Manage-

ment

3
11503011 전통문화의개발과응용 Study of Traditional Cultural Application 3
11503017 멀티미디어관리 Multimedia DB Management 3
11503018 CT개발연구 Culture Content Technology Development 3
11503019 디지털뮤지엄기획 Planning of Digital Museum 3
11503020 영상문화콘텐츠 Visual Content and Films 3
11503023 문화프로젝트실습 Study of Culture Project 3
11503050 문화정보미디어론연구 Research on Information medias 3
11503026 문화관광콘텐츠연구 Research on Area Cultural Tourism 3
11503028 콘텐츠산업사례분석 Case study of Culture Content Industry 3
11503029 문화원형콘텐츠연구 Research on Culture Content in Traditional Korea 3
11503038 스토리텔링연구 Study of Storytelling 3
11503031 글로컬문화산업과한류연구 Glocal Content Industry and Korean Wave 3
11503032 종교문화콘텐츠연구 Research on Religion and Culture Content 3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1503044 공연전시기획연구 Researc tion h on Planning of Performance and Exhibi- 3
11503039 디지털아카이브연구 Researc h on Digital Archive 3
11503041

문화행정과문화경영연구 Researc

ment

h on Culture Administration and Manage- 3
11503042 문화축제기획연구 Researc h on Analysis of Festival Content 3
11503043 디지털콘텐츠기획연구 Researc h on Culture Content Planning 3
11503045

문화콘텐츠학연구방법론 Thesis Research Methodology of Culture Content

Studies1

3
11503046

문화콘텐츠학연구방법론 Thesis Research Methodology of Culture Content

Studies2

3
11503047 문화콘텐츠논문연구 Dissertation Research of Culture Content1 3
11503048 문화콘텐츠논문연구 Dissertation Research of Culture Content2 3
11503049 글로벌문화콘텐츠연구 Study o f Global Culture Content 3

예다학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7033 차식물학 Research of Tea Plant 3
10107056 차약선식연구 Research of Tea Herbal Medicine Nutritive 3
10107058 다선철학연구 Studies on Tea & Seon Philosophy 3
10107060 차성분분석론 Research of Tea Ingredients Analysis 3
10107064 제다와관능과학연구

Studies on Tea Producing and sensory evalua-

tion

3
10107065 기호음료학연구 Studies on Favorable Beverages 3
10107068 차고전연구 Studies on Classical Tea Literature 3
10107072 차문화공간미학연구 Aesthetic Studies on Tea Culture Space 3
10107073 예다교육방법론연구

Studies on Educational Methodology of Tea

Proprieties

3
10107078 불교사상사연구 Studies on History of Buddhist Thought 3
10107080 한국차문화연구 Studies on Korean Tea Culture 3
10107081 서양차문화연구 Studies on Western Tea Culture 3
10107082 일본차문화연구 Studies on Japanese Tea Culture 3
10107083 중국차문화연구 Studies on Chinese Tea Culture 3
10107084 차예술론연구 Studies on Art of Tea 3
10107085 차치료학연구 Studies on Tea Therapy 3
10107087 차도구사연구 Research of the History of Tea Utensils 3
10107088 다도학개론 Introduction to Tea 3
10107089 차산업과마케팅연구 Research of Tea Industry and Marketing 3
10107095 차문화콘텐츠연구 Studies on Contents of Tea Culture 3
10107096 예다학논문연구방법

Thesis Research Methodology of Tea Proprieties

Studies

3
10107041 예다학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of Tea Proprieties Studies 3
10107097 예학사상사연구 Studies of Li Theory 3
10107098 차문화현지연구 Research on Tea Cultural Sites 3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0107099 차문화현지조사론 Field Work on Tea Culture Sites 3
10107026 신화와상징연구 Studies of Myths and Symbols 3
10107100 선명상과다도 Seon Meditation and the Way of Tea 3

회화문화재보존수복학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11504001 동서회화사연구 Study on History of Paintings East and West 3
11504003 보존수복연구방법론

The Methodology on Study of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Assets

3
11504004 서화문화재보존론

Theory on Conservation of Pictorial and Cal-

ligraphic Assets

3
11504007 보존과학연구

Study of the Science of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Assets

3
11504008 문화재재료학연구 Study of the Raw Material of Cultural Assets 3
11504012 동양회화기법연구

The Research on the Techniques in Oriental

Paintings

3
11504013 한국불화연구 Study of Korean Buddhist Painting 3
11504015 지류문화재연구 Study of Korean Buddhist Painting 3
11504016 문화사 Cultural history 3
11504017 문화재양식론연구 Study on Cultual asset style 3
11504018 조형론 Formative art theory 3
11504019 불교고고학연구 Study on Buddhism archeology 3
11504020 문화재조사실습 Cultural asset investigation and practive 3
11504021 선예술학특론 Sun, art science special theory 3
11504023 중앙아시아문화및미술사연구 A Study on Culture & Art history in Central Asia 3
11504026 문화재콘텐츠연구 Study on Contents of Cultural Asset 3
11504042 보존철학 philosophy of conservation 3
11504033 색채학 chromatics 3
11504034 문화재콘텐츠개발 The cultural assets contents development 3
11504032 기초소재개발연구 A Study on Culture & Art history in Central Asia 3
11504036 표구이론과기법

The Theory and Practice ⅠTech-

niques

3
11504009 회화문화재연구 Study of Korean Cultural Assets 3
11504038 회화문화재보존수복학연구

Study on the Pictorial Cultural Assets’ Conserva-

tion and Restoration Ⅰ

3
11504039 민화연구실습 Practice of folk painting research 3
11504040 고려불화연구및재현실습

Study on the buddhism painting during Goryeo

dynasty and practice

3
11504041 사경연구 A study of Sutra Writing 3
11504043 한국화실기 Korean Painting Experience 3

교과목 해설

공통과목

불교학연구 Studies in Buddhist Thought

불교사상의 본질에 대한 개괄적인 연구를 대상으로 한다 주로 석존 정각의 내용과 불교교단의 성립 그리고 제도이념으로서의 불교사상의 체계와 구조를 분석한다 그 위에 원시불교의 경전과 인물 그리고 다른 종교와의 관계 속에서 전개된 사상의 추이를 해명한다

This is to general research on the essence of Buddhist thought. It mainly analyzes on the content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of Ś Buddha,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order, and the system and structure of Buddhist thought as an organization doctrine. Also, it elucidates canons and personalities of the early Buddhism, and transition of thought developed in the relation with other religions.

동양철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Philosophical Thoughts

본 과목은 동아시아의 전통문화의 기반이 되는철학적 사유의 성립과 변천 및 그 현대적 의미를 탐구하는 과목이다 구체적으로는 유불도를 중심으로 하여 자연관 인간관 수양론 정치사회사상 및 문화의식의 중요한 흐름을 공부한다

This is to investigate on establishment, transition and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philosophical thought being based of traditional culture of East Asia. Specifically, centered o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t studies on view of nature and human being, theory of practice, political social thought, and important flow of cultural consciousness.

노장사상연구 Studies in Thought of Lao Tzu and Chang Tzu

중국도가철학의 주류를 이루는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도덕경과 남화경의 전적의 구조를 분석하고 역사적인 전개와 사상적 특징을 해명한다

This is to systematically research on the thoughts of LaoZi and ZhuangZi whom are main stream of Chinese Taoist philosophy. It analyzes text structures of DaoDeJing and NanHuaJing, and elucidates on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 of thoughts.

동양문화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culture in Oriental

동양의 전통문화사를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유불도 삼교의 각종 문화를 비롯한 전통문화의 전개와 특징을 해명해 나간다

This is to systematically research on the history of traditional oriental culture. It elucidates on development and character of tradi- tional cultures, including various cultures of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others.

전통문화콘텐츠론Traditional Culture Contents

전통문화사상을 콘텐츠의 시각으로 재해석해 나가는 방법론을 모색한다 문화콘텐츠의 방법을 도입하여 전통의 각종 문화와 사상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재구성해 나간다

This is to search for a methodology of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thought from the view point of contents. Introducing methodology of cultural contents, it studies for reconstruct various traditional culture and thought into new paradigm.

현대명상과수행문화 Modern Practice of Meditation and Practice Culture

현대명상冥想의 이론을 섭렵하고 현대 학계에 파급되고 있는 명상 및 수행의 문화에 대해 종합적으로 비평분석한다

This course is to study of the Meditation theories and practices in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s, and to analyze the current studies of Meditation Culture.

한국고문헌연구 Studies in Korean Ancient Writings

본 과목의 목적은 한국의 사상과 문화에 관한 중요한 문헌적 자료를 조사 발굴하여 문헌의 작자와 시대를 서지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내용을 해독하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있다

This is to bibliographically analyze author and time by investigating and discovering an important literary material in Korean thought and culture. Also, it improves capability of interpretation on original resource.

화론연구 Study on Painting Theory

중국의 화론에 비해 우리의 화론은 약하다는 인식이 강하다 그러나 조선 고유의 화론이 있었고 이를 통해 문화주체성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We search the Chinese and Korean painting theory far and wide, and study the theory with relation to the cultural asset.

서론연구 Studies in Calligraphy-Thesis

중국과한국의 역대 서예가및 서예이론가들의 서예 이론을탐구하여 서예의필법과필세 및 필의에대한 이론을고찰하고 서예의 품격을 연구하고자 함에 목적을 둔다

This lecture’s purpose is to study dignity of calligraphy and theory about writing style, stroke of the brush and will to write of calligraphy by studying calligraphic theory of calligrapher and calligraphic theorist in Korea and China ever.

전공과목

주역해석사 History of Interpretation of I-ching

함축적이고 상징적인 주역에 관한 다양한 해석의 흐름을 연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점역 의리역 상수역 도교역 불교역 의학적 역해 석 등의 접근방법을 탐구하고 특히 기공학적 해석과 명리학적 접근에 주목한다

This is to research on various interpretations on abstractive and symbolic I-ching. It studies approaching methodologies including from augural, meaning and principle, images and symbols, Taoist, Buddhist, and medical aspects. Especially, it concentrates on QiGong aspect analysis and Mingli approach.

음양오행연구 Studies in Theories of Yin and Yang

기의 발현양태인 음양오행의 사상사적 전개과정을 살피고 음양과 오행의 기본성격을 탐구한다 나아가 동양의학 명리학 기공수행 및 문화현상의 각 방면에서 논의된 음양오행의 의미를 탐구한다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 appearance modes of Qi, will be studied in its development process of theoretic history and on their basic characters. Meaning of those which used in various fields, eastern medicine, Ming-li, QiGong practice, and other cultural phenomena will be investigated.

동양인간학연구

유불도 삼교의 인간관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특히 삼교의 심신관 운명론 이상인격론 등에 주목하여 삼교에서 인간 삶에 어떻게 접근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가를 검토한다

Views of human being in three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ill be generally researched. Especially, it will study on how three religions approach to human life and search for desirable direction, concentrating on their mind and body theories, theories on life, and theories on ideal personality.

체상학연구 Studies in Images and forms of Qi

무형한 추상적 기가 유형한 상으로 전개된 후의 형상화한 기에 관한 의미를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기에 관한 상과 수의 이론 및 그것 이 천문 인체에 관해 구체적으로 적용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After formless abstractive Qi developed into figured image, formated Qi i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t analyzes theories of images and numbers on Qi,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processes on astronomy and human body.

명리학연구 Studies in Principles of Ming Li

동양의 전통적 천명 개념의 흐름을 살피고 기와 천명이 결합한 기명이론을 연구한다 나아가 기명의 구체적 적용 분야로서의 명리학의 이론적 틀과 기질지성론을 연구한다

It surveys on the flow of traditional Chinese concept of Tian Ming, mandate of heaven, and researches on Qi-Ming theory, com- bination of Qi and Tian Ming. It also studies on the theoretic frame of Ming-Li as a field of practical application of Qi-Ming, and the theory of nature of acquired personality.

명리학사연구 History of Ming Li Principles

한대 왕충의 천명론에서부터 당송대 명리학의 성립 명청대의 발전과정에이르는 역사적 흐름을 연구한다 성리학 불교 도교사상 과의 사상교섭에도 주목하고 현대 명리학의 과제를 탐구한다

This is to study for historical flow of Ming-Li, from the Tian-Ming theory of Wang Chong of Han dynasty, the establishment of Ming-Li in Tang and Song dynastie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at Ming and Ching dynasties. It also focuses on interchange of thought with neo-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so on, and searches for task of contemporary Ming-Li.

풍수학연구 Studies in Thoughts of Feng-Shu

기학의중요한응용분야의 하나인전통적풍수지리사상의 역사적흐름과기본이론을 연구한다 나아가풍수사상과 사회변동및 풍 수사상과 생태학적 환경론과의 연관관계를 탐구한다

This is to study on historical flow and basic theory of traditional Feng-Shui and geographical thought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pplication of Qi principle. It also investigate on the relation of Feng-Shui thought with social change and ecological environmentalism.

풍수학사연구 History of Feng-Shu Thoughts

상고시대의 주거형태로부터 풍수사상의 여명기 개화기에 이르는 역사적 흐름을 개관한다 나아가 풍수사상의 한국적 전개의 흐름 을 살펴보고 조선시대의 풍수인식의 양상을 검토한다

It studies historical flow of Feng-Shui thought from ancient habitate style, and incunabula and flowering stage of Feng-Shui thought.

역경과술수학

한서예문지 술수략의 여러 영역의 기원과 흐름을 살펴보고 응용기학의 다양한 분야로서 대두된 술수학과 그 사상적 바탕인 주역의 상호연관성을 탐구한다

This is to survey on origins and flows of various fields of the Hanshu Yiwenzhi or “Bibliographical Treatise of the History of the Former Han Dynasty” and the Shushulue. Shushu principle, a representative applied Qi principle and I-Ching, the philosophical basis of it will be investigated for their inter-relation.

고천문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Archaic Astronomy

동양적 세계관과 실천수행론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고천문학의 성립과정과 기본내용을 연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천문학의 바탕 인 우주관과 천문역법을 탐구하고 점성술의 기원과 흐름에도 주목한다

Oriental archaic astronomy which possesses important meaning in view of world and practice theory of East asia, is researched in its establishment process and basic contents. Especially, it also focuses on view of universe as the basis of astronomy, and origin and flow of astrology.

상수역학연구 Studies in Images and Symbols of I-ching

주역해석사의 중요한 흐름인 상수역학의 다양한 유파와 흐름을 공부하고 상수역학이 명리 기공 및 풍수에 끼친 영향을 검토한다 나아가 의리역과 상수역의 이론적 특징과 상호관련성을 공부한다

Various schools and flow of the images and symbol of I-Ching, an important factor in the history of I-Ching interpretation will be studied. Also, it surveys on influence of the images and symbol of I-Ching to Ming-Li, QiGong and Feng-Shui then it studies on theoretic features and inter-relation of the meaning and principle and the images and symbols.

역학고전연구 Studies in classics Treatise of I-Ching

역학연구의 다양한 흐름 가운데 중요한 고전을 강독함으로써 고전 해독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를 통해 술수학의 기본개념과 성립과 정을 심도 있게 이해시킨다

Reading an important classic treatise in various flows of I-Ching studies will improve reading and interpretation skill. Along with reading of a classic treatise, student can deeply understand basic concepts and establish process of Shu-Shu.

도교철학연구Taoism

도교의 세계관과 인간이해 윤리관 등을 체계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신관 생명에 대한 인식 심신관 등에 초점을 맞추어 탐구한다

It systematically researches Taoism on view of world, understanding of human, and ethics. Especially, it focuses on view of god, perception of life, and view on mind and body.

동양생태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Ecology

유기체적 세계관에 바탕한 동양의 전통적 자연관의 흐름을 밝히고 특히 생태여성주의적도교적 자연관에 주목한다

This is to clarify the flow of Oriental traditional view of nature based on organic view of world, and to study on eco-feministic and Taoistic view of nature.

동양상담론연구 Studies in Oriental Counselling

유불도 삼교의 전통 속에 형성된 동양적 심리인식과 이에 바탕한 상담이론을 연구한다 나아가 기철학에 바탕하여 명리 체상 기질 및 체질을 파악하는 상담이론을 모색한다

Established in tradition of three relig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oriental psychological perception and coun- selling based on it will be investigated. Also, based on Qi philosophy, it searches on counselling methodologies to comprehend Ming-Li, body images, personal and physical nature.

명리고전연구 Studies in classics of Ming-li

중국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는 명리학의 역사적 변천과정 가운데 대표적인 명리고전을 강독함으로써 고전해독능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해석학적 시각을 공부한다

Reading a representative classic work of Ming-Li in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Ming-Li principle from ancient to modern China will improve reading and interpretation skill on classics, and also attain various view points of hermeneutics.

기학사상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Qi-Philosophy Thought

본 과목은 기철학의 발생과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봄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춘추전국시대의 발생기 한 대의 이론정립기 송명대의 성숙기 등으로 대별하여 공부한다

This is to survey on origin and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Qi-philosophy. Specifically, it studies on generating stage of the Warring Country period, theoretic establishment stage of Han dynasty, and maturing stage of Song-Ming dynasties, respectively.

천명사상연구 Studies in Tian-Ming Thought

본 과목은 천명개념의 성립과 다양한 발전과정을 탐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유가의 도덕적 천명론 도가의 자연주의적 천명론을 비롯하여 송대 이후 대두된 이기론적 천명론을 공부한다

This is to investigate on establishment of Tian-Ming concept and various development processes. It examines on Confucian ethical Tian-Ming thought, Taoist naturalistic Tian-Ming thought and Li-Qi theoretic Tian-Ming thought after Song dynasty.

음양오행과성명학 YinYang-WuXing and Naming

음양오행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성명학에 응용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연구한다

This subject is related to understand the basic principle of YinYang-WuXing and study the diverse methods that used in the field of Naming.

현대상학연구 Study on modern Ti-xiang

상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인사 관리에 활용하는 방법론을 연구한다

This subject is related to contemporarily reinterpret the Ti-Xiang and study the diverse methods that used in the field of manage- ment of human resources.

고전상학연구 Study on ancient Ti-Xiang

상학의 기본 이론과 구성 원리를 상학 고전을 통해서 연구한다

This subject is related to study the basic theories and construction principles according to the Ti-Xiang’s classics.

유가철학연구

동양철학의 가장 중요한 부분 가운데 하나인 유가철학을 연구한다

This subject is related to study the Confucius philosophy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of eastern philosophy.

중국철학사

중국철학의 중요한 개념과 내용을 역사 발전에 따라 연구한다

This subject is related to study an important concepts and contents of chinese philosophy according to the historic progress.

풍수고전연구

풍수 전반의 고전을 연구한다

The Classic of Feng Shui is to be studied.

명리상담론 Counsel Of Ming Li

명리와 상담을 중심으로 접근한다

Counsel Of Ming Li is centered on study.

유불도운명론Taoism

유불도에 나타난 운명론을 다룬다

The Study is focussed on Destiny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관상의심상론 Mind in Physiognomy

관상에서 마음인상을 중심으로 이해한다

Mind Reading is of great importance in Physiognomy.

문화콘텐츠학 Introduction to Culture Content

문화콘텐츠학 입문을 위한 개론으로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에 대한 기초를 연구한다

Introduction to Culture Content study and basic understanding of Culture Content.

문화콘텐츠산업론

문화콘텐츠산업 제 분야 애니메이션 캐릭터 모바일 인터넷 등의 디지털산업 전반에 관한 이해를 습득한다

General understanding of Culture Content Industry such as Animation, Character, Mobile, and Internet.

문화콘텐츠정책론

문화콘텐츠에 관한 국가 정책 관련 법령 등을 분석 진단하고 연구한다

Study and analysis of State Policy, laws, and regulations on the Culture Content.

문화콘텐츠마케팅 Marketing Research in Culture Content Management

문화콘텐츠 산업 현장을 중심으로 콘텐츠 유통 배급 등의 마케팅을 체계적으로 탐구한다

Systematic Research on the marketing process(production, circulation, and distribution) in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전통문화의개발과응용 Study of Traditional Cultural Application

전통문화 자원을 문화산업 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 응용 탐구한다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to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멀티미디어관리Management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을 습득하여 각종 타이틀 저작 방법을 습득한다

Learning and practice of the various Multimedia information DB and its Management.

CT개발연구Technology Development

문화콘텐츠를 멀티미디어화 하는 다양한 CT(문화콘텐츠기술를 습득하고 직접 콘텐츠를 개발 탐구한다

Learning and practice of various multimedia and Culture Content Technology.

디지털뮤지엄기획

온라인상의 디지털 뮤지엄의 개념 및 기획 전시 경영 전반에 대해 탐구한다

General research on the concept, planning, display, and management of Digital Museum.

영상문화콘텐츠 Visual Content and Films

문화는 어떻게 영화화되며 영화 속의 문화는 어떻게 영상화되었는지 도구로서의 영화 영화의 문화사적 의미 영화문법 전반을 분 석한다

Study on the Visual Content and Films, i.e. the relation of culture and movie, the meaning of movie in the cultural history, and the cultural grammar of movie.

문화프로젝트실습 Study of Culture Project

졸업 작품 제작을 위한 프리 프로덕션 단계로 졸업 작품의 주제와 구성 그리고 기술 적인 구현에 대해 연구하여 결과물을 산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Study and practice of various culture projects and their techniques for the production of Culture Content.

문화정보미디어론연구 Research on Information medias

문화정보 매채별 특성 전자출판 이러닝 유비쿼터스 개념적 이해와 활용 사례에 대해 조사 연구한다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Culture Information media such as desktop publishing, electronic publishing, e-Learning, and Ubiq- uitous.

문화관광콘텐츠연구Cultural Tourism

지역문화를 개발하여 관광자원화 하고 관광을 문화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학습한다

Learning on the Area Culture and Tourism. Understanding of how to use Area Culture as Tourism resource, and how to use Tour- ism as cultural resource.

콘텐츠산업사례분석 Case study of Culture Content Industry

문화콘텐츠산업 제 분야별 성공사례를 조사하여 성공 요소를 연구 분석한다

Case study of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and analysis of the successful case and its success factors.

문화원형콘텐츠연구Traditional Korea

전통문화 원형을 파악하고 산업화한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탐구한다

Systematic research and study on the Culture Content of the Korean tradition.

스토리텔링연구 Study of Storytelling

문화콘텐츠 제작의 기반이 되는 스토리텔링의 이해를 토대로 다양한 시나리오 창작능력을 함양한다

Study and practice of storytelling and scenario as the basis of production of Culture Content.

글로컬문화산업과한류연구 Wave

국가별 문화산업의 배경과 현황을 파악하고 한류 산업에 대해 연구 분석한다

Understanding of Glocal Content Industries, and critical review of the Korean Wave.

종교문화콘텐츠연구

종교가 예술 분야에 끼친 영향과 시대별 사회적 기능과 역할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Systematic research on the Religion and Culture Content, i.e. religion’s impact to the arts, its social function and role in the history.

공연전시기획연구Exhibition

공연 전시회 이벤트 등의 기획과 경영을 이론과 실무 양 측면에서 탐구한다

Research on theory and practice of planning and management of events,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디지털아카이브연구

세계 각국의 디지털아카이브가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를 조사 분석하여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을 탐구한다

Survey and analysis of the World’s various Digital Archives, and experimentative study on how to build a Digital Archive.

문화행정과문화경영연구 Research on Culture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문화콘텐츠산업과 관련한 문화 행정과 문화경영의 구조와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Study on the structure and method of Culture administration and Culture management related to Culture Content Industry

문화축제기획연구 Research on Analysis of Festival Content

축제가 소비자에게 어떻게 수용되며 어떻게 기획할 것인가를 조사 분석하여 기획한다

Study and practice on the concept, planning, and management of cultural Festival Content.

디지털콘텐츠기획연구

디지털 문화콘텐츠의 구상과 기획을 위한 이론적인 학습과 실무적인 방법론을 연구한다

Theory, practice, and method of Culture Content Planning and Design.

문화콘텐츠학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of Culture Content Studies1

논문 작성법을 학습하고 학술지 및 학위논문 작성법을 탐색한다

This course concentrates on methodologies in thesis writing, how to write journals and research papers.

문화콘텐츠학연구방법론

문화콘텐츠 연구사를 분야별로 조사 습득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방법론을 탐구 개발한다

Study of history and various research methods useful for the Culture Content.

문화콘텐츠논문연구 Dissertation Research of Culture Content1

문화콘텐츠학에 관련된 기존의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탐색한다

Study the research various methodologies of Culture Content studies

문화콘텐츠논문연구 Dissertation Research of Culture Content2

문화콘텐츠학에 관련된 새로운 연구 영역과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탐구한다

Study the research methodologies of Culture Content studies and to examine further research methodologies and other related methodologies.

글로벌문화콘텐츠연구

세계 각 지역의 문화콘텐츠를 수집 조사하여 다양한 콘텐츠의 제작 가능성과 상이한 인식 방식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Survey, comparison, and analysis of various Global Culture Content.

차식물학 Research of Tea Plant

차나무의 품종 · 분포지 · 재배 등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차의 식물학적 특성과 활용 방안을 연구한다

This is to study on botanical feature and application method of tea through investigation of tea’s breed, dispersion, plantation and so on.

차약선식연구Tea Herbal Medicine Nutritive

음식에 차를 접목하여 질병의 예방 및 면역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차약선식품을 연구한다

This is to study on tea herbal medicine nutritive which can expect effects of preventing disease and immune boosting, by application of tea on food.

다선철학연구 Studies on Tea &

‘다선일미철학의 탐구를 위하여 선사들과 차인들의 사상적 연계성을 연구한다

This is to study on relation of thought of Seon masters and tea masters to comprehend the philosophy of “one taste of Seon and tea.”

차성분분석론 Research of Tea Ingredients Analysis

차에 함유된 성분과 실용성에 대하여 식물학적 · 화학적 · 식품 의학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This is to holistically research on ingredients and effectiveness contained in tea from botanical, chemical, and food medical aspects.

제다와관능과학연구 Studies on Tea Producing and sensory evaluation

제다과정은 다양하게 분화되어 왔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제다와 차의 품질에 대한 품평을 조화시켜 효율적이며 품질 높은 제 다방법을 연구한다

Tea production process varies in several ways, and is continuously developing. Harmonizing tea production and quality evaluation, it researches on efficient high quality tea manufacturing methodology.

기호음료학연구 Studies on Favorable Beverages

홍차커피와인 등 차와 함께 확산되고 있는 기호음료 전반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한다

This is to intensive research on general favorite beverages, black tea, coffee, wine, and other drinks, spreading with tea.

차고전연구Tea Literature

차에 관련된 고전에 대한 심도 있는 번역 · 주석 작업을 통하여 원전에 대한 해독능력을 제고한다

This is to improve interpretation capacity on original resources, by intensive translation and commentary on classical tea literature.

차문화공간미학연구 Aesthetic Studies on Tea Culture Space

차에는 필수적으로 공간과 꽃 그리고 차도구가 수반된다 이들의 미학적 함수관계를 연구하여 차 문화의 예술적 발전을 도모한다

Tea requisitely followed by space, flower, and tea set. It studies their interrlation and searches artistic development of tea culture

예다교육방법론연구Educational Methodology of Tea Proprieties

다도와 전통의례를 현장에서 다양하게 교육하고 활용하기 위한 여러 기법과 교육현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It studies various techniques to apply and to educate tea ceremony and traditional rituals in actual site, and education field.

불교사상사연구 Studies on History of Buddhist Thought

불교사상의 성립과 흐름을 연구하여 다선일미사상이 출현하는 불교사상적 배경을 연구한다

This is to study Buddhist philosophical background appearing “one taste of tea and Soen” thought by investigating formation and flow of Buddhist thought.

한국차문화연구 Studies on Korean Tea Culture

한국의 역사상 나타난 차 문화를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하여 한국적 차 문화 형성을 도모한다

It approaches on tea culture manifested in Korean history from various aspects, and searches formation of Korean tea culture.

서양차문화연구 Studies on Western Tea Culture

서양의 차 전통과 역사적 배경 그리고 그 문화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It generally studies tradition and historical background and cultural character of Western tea.

일본차문화연구 Studies on Japanese Tea Culture

다도가 가장 성한 곳이 일본이다 일본의 문화적 특성과 일본다도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한다

Japan is the most popular place of tea ceremony. It studies for Japanese cultural feature and tea ceremony.

중국차문화연구 Studies on Chinese Tea Culture

차가 발생한 곳이며 역사상 풍부한 차 문화를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장 많은 차 생산량을 자랑하고 있는 중국의 차 문화에 대하여 연구한다

China is origin place of tea and the largest production of tea in the world. It studies for Chinese tea culture, historically possessing abundant tea culture.

차예술론연구 Studies on Art of Tea

차 문화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과 연관되어 있다 문학 · 음악 · 미술 · 공간예술 등 차와 관련된 제반 장르에 대하여 연구한다

Tea culture related with various field of art. It studies various genre related with tea, such as literature, music, painting, space art and so on

차치료학연구 Studies on Tea Therapy

차는 원래 질병의치료제였으며 심리적 안정과 치유에 효과가 있다 다양한 차 치료의분야를 연구하여 치료제로서의 가치를 극대화한다

Tea was originally medicine for disease and effective o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ealing. It researches for various areas of tea ther- apy and maximizes medical value.

차도구사연구Tea Utensils

차에 필요한 재배도구 · 제다도구 · 음다도구 · 관리도구 등의 변천과정과 실용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This is to systematically study on transition and utility of tea planting tools, tea manufacturing tools, tea sets, management tools and so on.

다도학개론 Introduction to Tea

차와 관련된 모든 분야에 대한 개론적 이해를 도모하여 차를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기초를 갖추도록 한다

All areas related with tea are understood in outline, and it prepares the basis to research on tea academically.

차산업과마케팅연구 Research of Tea Industry and Marketing

차의 산업화를 위한 다양한 문화와 상품을 개발하고 보급하며 마케팅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연구한다

This is to generally research on various culture and merchandises to develop and to distribute for tea industrialization, and on genenal matter of marketing.

차문화콘텐츠연구 Studies on Contents of Tea Culture

차가 지닌 문화 콘텐츠로서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문화콘텐츠 기획을 위한 이론적 학습과 실무적인 방법론을 연구한다

It is to research on theoretic study and practical methodology for maximizing tea’s value a cultural contents, and for planing of cultural contents.

예다학논문연구방법 Thesis Research Methodology of Tea Proprieties Studies

어떻게 논문을 잘 쓸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론을 배우고 학술지 및 학위논문 작성법을 익힌다

This course concentrates on methodologies in thesis writing, as well as how to write journals and research papers.

예다학연구방법론Tea Proprieties Studies

예다학에 관련된 기존 연구방법들을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영역과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익힌다

This course is to study the research methodologies of tea studies and to examine further research methodologies and other related methodologies.

예학사상사연구 Studies of Li Theory

예학 사상사의 흐름 속에서 예의 시행과 이해 예설의 변화 예학의 성립과정을 검토 연구한다

This course examines the practice and understanding of etiquette , the change of Li theory, and history of Li theory.

차문화현지연구 Research on Tea Cultural Sites

차 문화가 형성된 국내의 현장을 방문 · 조사하여 새로운 차 문화 전개의 가능성을 연구한다

This course is a field work study on visiting the tea culture sites of Korea.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experience the tea culture and the environment, and study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tea culture.

차문화현지조사론 Field Work on Tea Culture Sites

현지라는 지역적 공간에서 차문화를 조사하며 그 조사에 근거하여 다양한 현지에서 생성되고 있는 차문화를 연구한다

This course is to study the local cultures of tea making and environment by visiting various areas in the country.

신화와상징연구 Studies of Myths and Symbols

신화와 상징은 인류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주제이며 인류의 예술과 문화전통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This course is to study myths and symbols are important subjects to understand the essence and the phenomena of human cultures.

선명상과다도Way of Tea

불교의 선명상에 대한 철학적 수행적 이해를 통해 다도의 철학적 수행적 학문체계를 이루는 과정이다

This course is to study the philosoph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Seon Meditation of Buddhism in order to develop the philosoph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Way of Tea

동서회화사연구Paintings East and West

동서양의 전통 회화양식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가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We study how the traditional East and West painting styles have been changing.

보존수복연구방법론 The Methodology on Study of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Assets

제작했던 작품의 미술사적 흐름과 재료 기법 등을 이론적으로 연구하고 정리해서 논문을 완성하고 작품을 제작발표 한다

We study the theory of the pre-made art works’ artistic flow, material, and technique, and arrange and summarize the theory, complete the thesis, make our own artistic work and present them in public.

서화문화재보존론Conservation of Pictorial and Calligraphic Assets

글과 그림이 아울러진 문화재들을 어떻게 보존해야 하는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한다

We progress the in-depth study on how we preserve the calligraphic assets

보존과학연구Conservation of Cultural Assets

보존과학은 지금 한층 성장기에 있는 새로운 연구 분야이다 거기에는 정밀기기를 구사하여 재질을 분석하는 연구가 있는가 하면 발굴조사 현장에서 플라스틱통 안에서 조합한 약제를 사용하여 유구를 보존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연구도 있으며 또한 유구와 유물의 보존을 위하여 적절한 조건을 해명하는 기초적인 조사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이러한 이학적인 방법과 공학적인 방법은 물론이거니와 인문과학이나 사회과학적인 기초지식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The Conservation Science is on the growing period and brand new study field. This field covers the study of material analyse using quite precision instruments. This aims to study the basic knowledge not only the different learning fields and engineering methods but also human studies and social science.

문화재재료학연구 Study of the Raw Material of Cultural Assets

우리나라 및 동서양의 문화재를 재료학적인 면에서 폭넓게 연구한다

We study the oriental and occidental cultural assets -including Korean assets.

동양회화기법연구 The Research on the Techniques in Oriental Paintings

동양회화에서 행해졌던 각종기법을 실기와 이론을 통해서 습득하고 연구한다

We study and acquire the various kinds of technique through practice and theory which were done in the oriental paintings.

한국불화연구Painting

회화문화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불화에 관한 연구를 한다

We study th Korean Buddhist paintings which occupy the large part of painting cultural assets.

지류문화재연구Painting

회화문화재의 바탕재료 중 하나인 종이에 관해 연구하고 지류문화재 전반에 관한 연구를 한다

We study the basic material (in the painting of cultural assets), paper and study generally about the paper cultural assets.

문화사 Cultural history

동서양의 문화사를 비교 연구한다

We compare and study the oriental and occidental cultural history.

문화재양식론연구 Study on Cultual asset style

문화재의 양식 변모를 각 시대의 사상 종교의 변화에 따라 변화된 양식을 연구한다

We study the changed style of cultural assets with regard to each era’s thought and religion.

조형론

조형이론과 실습을 통해 조형에 대해 이해를 높이고 감각을 숙지한다

We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formative art through the formative art theory and get familiar with the sense of the art.

불교고고학연구 Study on Buddhism archeology

인도 및 중앙아시아의 불교문화재를 연구한다

We study Buddhism in India and Middle Asia.

문화재조사실습 Cultural asset investigation and practive

국내외의 문화재에 대한 자료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습을 통해 조사 연구한다

Field research materials of cultural assets at home and abroad will be investigate by field practice.

선예술학특론

동양의 선사상과 그에 따른 조형세계의 표현법 등을 정리 한다

We summarize about the oriental sun(meditation) though and the field of formative art’s expression.

중앙아시아문화및미술사연구Central Asia

중앙아시아에서 꽃피었던문화적특징을연구하고 미술사적인 면에서남아있는각 지역의벽화들을파악그 특징과교류 등을 연 구한다

We study the cultural features which bloomed in Middle Asian countries, and after we comprehend about the wall paintings which remains still with the value of artistic history and study on them.

문화재콘텐츠연구 Study on Contents of Cultural Asset

모든 문화재의 보존 수복 복원을 통해 콘텐츠화하고 보다 더 폭넓게 학문분야에 연계할 수 있는 콘텐츠방안을 연구한다

Through the preservation, repair and conservation of all cultural assets, we make our own special contents. And we study and de- velop more about the high quality contents and its usage.

보존철학 philosophy of conservation

문화재를 보존에 앞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고찰을 통해 보존방침을 설립하도록 하여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많은 문화 재 보존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오히려 훼손된 사례들 또한 많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보전처리에 앞서 철저한 보존 방침 을 설립하도록 해야 한다

We study on the philosophy of conservation and how to develop conservation skills and methods.

색채학

모든 예술활동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학문으로 색채가 가지고 있는 인문학적인 접근보다는 과학적인 접근 방법을 통해 색상을 이해한다 색재가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색채학으로접근하여 이해하도록 해야한다 안료의 혼색 중첩 입자크기에 따른 색상변화 를 이해한다 가시광선영역 뿐만 아니라 적외선 자외선 X선 영역까지도 학습 범위를 넓힌다

We study Chromatics to understand the various colors in scientific approaches.

문화재콘텐츠개발 The cultural assets contents development

국가와 각 지방의 특색 있는 문화재를 보존수복의차원을 넘어선 콘텐츠 개발을 통해 많은 사람과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상품화를 모색한다

We study on the contents of cultural assets.

기초소재개발연구 A Study on Culture & Art history in Central Asia

바탕재료 접착제 안료와 같은 소재들이 범람하고 있는 가운데 이것을 2차가공한 소재를 개발한다 (아교포수용지 아교포수키트 제작 색유리안료제작

We study on the basic material development in preservation and conservation. We also develope material sources.

표구이론과기법 The Theory and Practice ⅠTechniques

우리나라 및 중국에서 행해졌던 표구기술과 이론을 연구하며 주로 오래된 회화문화재의 수리수복의 기술을 숙지하며 그 이론을 연 구한다

We study the technique and theory of mounting which was made in China and Korea, mainly we must know about the old-aged paintings’ repair and conservation.

회화문화재연구 Study of Korean Cultural Assets

유형 문화재 중에서 회화문화재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를 한다

Among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e are doing a comprehensive study on paintings of cultural assets.

회화문화재 보존수복학 연구 Study on the Pictorial Cultural Assets’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Ⅰ

회화문화재의 올바른 보존과 수복 방법에 관한 실체적인 연구를 한다

We are doing a substantial study on the right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pictorial cultural assets.

민화연구실습Practice of folk painting research

가장 한국적인회화로알려져있는 민화를대상으로고증과원본 연구를통해 모사제작을 실시한다 비교적난이도가낮은 작품들 로 기초 실습용으로 삼는다

We study and practice of folk paintings in Korea.

고려불화 연구 및 재현실습 Study on the buddhism painting during Goryeo dynasty and practice

고려불화는 세계적으로도 우수성이 알려져 있으나 작품이 희소하여 전문적인 재료나 기법의 정보가 부족하다 고려불화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연구하고 재현함으로써 아직까지 많은 부분 공개되지 못한 학술적 정보를 구축하도록 한다

We study and practice on the Buddhist paintings during Goryeo dynasty.

사경연구Sutra Writing

사경은 부처와 성인의 글을 베끼어 쓰는 것이므로 장편의 경문을 옮겨 쓰면서 수행을 겸하게 되어 서예의 정신성이 고도로 요구되는 분야이다 사경의 역사와 종류 제작과정 등을 연구하여 사경과 서예와의 밀접한 관련성을 찾고자 함에 목표를 둔다

Copying Confucian books is field highly requiring calligraphic spirituality because it is copying writings of Buddha and saint by practicing asceticism writing long Buddhist scriptures. This lecture’s purpose is to find close relevance between the Buddhist scrip- tures and calligraphy by studying history, type, production process of the Buddhist scriptures.

한국화실기Painting Experience

전통적인 한국회화 표현을 기초로한 창작품을 제작한다 회화작품을 이해하고 제작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소양을 기른다

Create orginal works based on the techniques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Develop basic skills and understand how to produce pain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