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불교학과

원불교학과

Department of Won Buddhism

 

학위과정 : 석사과정 박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전 공 명 : 원불교학 (Won Buddhist)

학 위 명 : 문학석사 (Master of Arts) 철학박사(Doctor of Philosophy)

후드색상 : 석사과정- 흰색(White) 박사과정-짙은파랑색(Dark blue)

 

학과 교육목표

  1. 원불교학 연구의 전문화 및 심화
  2. 동서양의 종교 및 철학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비판적 사고 함양
  3. 원불교학의 현대적 응용능력 배양 및 실천적 학문역량 강화

 

학과대학원 위원회

성명 직위

고시용 교수

염승준 부교수

원영상 조교수

임전옥 조교수

허석 조교수

장진영 부교수

박성호 조교수

 

편성교과목

국문 교과목명 영문 교과목명 학점
원불교학연구 Studies in Won Buddhist Thought 3
원불교해석학연구 Studies in Hermeneutics of Won Buddhist Scripture 3
교사연구 History of Won Buddhism 3
예전연구 Ritual Text of Won Buddhism 3
교화학연구 Introduction to Sermon 3
정전연구 Studies in the Canon 3
원불교학방법론 Methodology of Won Buddhist Thought 3
신앙론연구 Belief of Won Buddhism 3
수행론연구 Practice of Won Buddhism 3
교화방법론연구 Methodology of Won Buddhist Sermon 3
교단행정학연구 The Administration of Won Buddhist Order 3
대종경연구 Studies in Scripture of Great Master 3
일원상론연구 Studies in Il-Won-Sang Theory 3
종교사회학연구 Studies in Sociology of Religion 3
원불교교리형성사 The history of Won-Buddhism’s doctrine 3
사회조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3
한국신종교연구 Studies in Korean New Religions 3
교화상담 Edification Counseling 3
정산사상연구 Studies in Jeongsan Thought 3
교무론 Theory of Won-Buddhist Minister 3
원불교와불교관계론 Studie in Relation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3
원불교영성론 Studies in Won-Buddhist Spiritualism 3
불교학연구 Studies in Buddhist Thought 3
불교교리사상사 History of Buddhist Thought 3
동양철학연구 Studies in Oriental Philosophical Thoughts 3
비교종교학연구 Studies in Comparative Religion 3
동양예술사상연구 Studies in Thoughts of Oriental Art 3
역경연구 Studies in I-Ching 3
노장사상연구 Studies in Thought of Lao Tzu and Chang Tzu 3
전통문화콘텐츠론 Theories of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3
신화와상징연구 Studies in Myths and Symbols 3

 

교과목 해설

교과목명 국문해설 영문해설 학점
원불교학연구 원불교의 교의사상을 중심으로 원불교사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특히 원불교의 교의사상은 어떻게 성립되었으며 그 구조적 특징은 무엇인가 그리고 전통종교 사상과는 어떻게 대비되는가를 밝힌다. 그 위에 최고 종지인 일원상에서부터 신앙문 수행문 등으로 체계화된 원불교의 교의사상을 총체적으로 해명한다. This is to general research on establishment process of Won-Buddhist tenet and doctrine, its characteristics, and contrast to traditional religious thought. It holistically explicates on Il-Won-Sang, the highest essence of the order, and systematized tenet and doctrine of the gateways of the faith and the practice and so on. 3
원불교해석학연구 원불교 교리해석방법론을 탐색한다. 고도의 상징성을 포함한 교리사상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해석학 방법론을 도입하고 기존의 해석과 연구업적을 해부한다. This subject explores the hermeneutics of Wonbuddhist teachings. In order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highly abstract doctrines and thoughts of Wonbuddhism, this introduces the hermeneutics methodology and analyzes the established interpretation and achievement. 3
교사연구 원불교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이다. 교단사를 이해하는 사관의 정립과 함께 교단제도와 교리전개에 대해 구체적으로 탐색한다. 교화나 인물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접근이 시도된다. This subject systematically analyzes the Wonbuddhist history. This suggests some ideas about historical perspectives and also stud- ies development of Wonbuddhist organizational foundation and doctrins. This approaches it from such areas as edification and historical figures. 3
예전연구 현대인에게 맞는 예의범절을 바르게 연구하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 특히 개인의 관혼상제를 중심으로 한 원불교의 예의 작법에 대해 모색한다. 이상 원불교 예전은 인간의 예의범절을 기준으로 하는 통례 가례 교례로 되어있고 예문 등이 있어 인간으로 반드시 실천해야 할 예도를 학문화한 내용이다. This subject deals with manners and decorums which are proper for modern society. Especially, this explores Wonbuddhist de- corums-making with respect to individual’s doing-up-the-hair, marriage, funeral, and ancestor memorial. Wonbuddhist codes of decorums includes the general, the familial, and of Wonbuddhist orders. 3
교화학연구 교화학의 실천적 연구와 그 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This subject deals with the practices of edification and methodology. 3
정전연구 원불교의 기본경전인 정전을 구조적으로 접근한다. 소태산의 대각세계와 그 내용의 교리화 과정 그리고 현행 정전의 체계를 연구한다. This subject approachs and analyzes the Wonbuddhist basic Scripture, Jeongjeon(cannon). It deals with Sotaesan’s enlightenment contents, its process of Wonbuddhist doctrinization, and the current structure of the Jeongjeon(cannon). 3
원불교학방법론 원불교학의 연구방법론을 모색한다. 인문사회의 각종 분야를 섭렵하여 원불교학의 연구방법론을 개발하고 그간에 연구된 결과를 검토하여 방법론적으로 교학이론을 정립해나간다. This subject explores methodology of Wonbuddhist studies. Reading extensively a variet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t pur- ports to develop the methodology of Wonbuddist studies and to establish a theory of Wonbuddhist studie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findings. 3
신앙론연구 원불교의 신앙체계를 구체적으로 연구한다. 일원 즉 사은. 사은 즉 삼라만상으로 전개된 세계를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나가는 원리 체계를 해명해나간다. This subject studies Wonbuddhist system of belief in detail. It attempts to explicate the principle of Wonbuddhism that the contents of Ilwon is the fourfold graces, and the contents of the fourfold graces is all things in the world. 3
수행론연구 원불교의 수행체계를 구체적으로 연구한다 삼학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으로 대표되는 원불교 수행의 원리를 밝히고 일원상의 수행을 정전의 수행편과 대종경의 수행품과 관련지어 해명한다. Practice of Won Buddhism provides a detailed research on the Practice of Won-Buddhism. The lecture is designed to understand Threefold Training both in the Jeongjeon and the Taejongkyong: ① Chŏngshin suyang (Cultivation of Spirit), ② Sari yŏn’gu (Inquiry into Facts and Principles), ③ Chagŏp-chwisa (Mindful Choice in Creation) as the Essential Way of Moral Cultivation. 3
교화방법론연구 실천교학에 바탕하여 일선 교화의 방법론을 연구한다. 다양한 교화사례를 분석하고 지역사회와 관련된 교화현장 상황을 이끌어갈 실천원리를 제공한다. Methodology of Won Buddhist Sermon provides a research method about the edification based on the practical study of Won-Bud- dhism by analyzing various cases of edification as well as by providing practical principles. 3
교단행정학연구 원불교의 교단행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한다. 교단의 제도조직법규를 비롯하여 인사재정 등 교단전반의 운영체계를 해명하고 각종 과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나간다. Administration of Won Buddhist Order provides som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Won-Buddhism by researching on the system, organization, and Laws and Regulations. 3
대종경연구 소태산의 언행록인 대종경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결집 과정과 구조적 특징을 해명하고 수록 법문의 해석 내지 정전의 교리체계와 대비 고찰해나간다. Studies in the Scripture of Great Master provides a systematic research on the teachings of Master Sot’aesan, analyzing the structure and the historical compilation procedure of the Scriptures, interpreting the doctrinal system of the Jeongjeon. 3
일원상론연구 원불교의 최고 종지인 일원상 진리를 체계적으로 해석한다. 일원상의 상징론에서부터 일원 즉 사은, 사은 즉 삼라만상으로 전개되는 교리체계를 구체적으로 해명하고 신앙문과 수행문으로 구별하여 현실 세계 위에서 구현해나가는 이론적 체 계를 연구한다. Studies in Il-Won-Sang Theory provides a systematic interpretation of The Truth of Irwonsang (the Circle), the symbol of the ultimate reality, which is enshrined as the object of religious faith (The Fourfold Grace) and as the standard of moral discipline (Threefold Training). 3
종교사회학연구 종교학 연구분야의 체계와 함께 특수종교학의 주요 분야를 차지하는 종교사회학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종교가 사회와 함께 전개되어 나가는 역사적인 의미를 해명한다. Studies in Sociology of Religion provides a systematic study on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societies and religions. 3
원불교교리형성사 원불교 교리는 소태산 원각성존의 깨달음을 기점으로 하여 『원불교 교전』의 성립으로 일원상의 진리를 비롯한 사은사요와 삼학팔조 등 핵심 교리가 확립된다. 특히 원불교 사상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불교를 근간으로 한 유교, 도교 등의 영향 속에서 이루어져 왔음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원불교 교리를 성립사적으로 고찰하여 원불교 교리의 정체성을 보다 면밀히 이해하며 교학사 상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수업의 목적으로 한다. The history of Won-Buddhism’s doctrine provides lectures on the main doctrines of Won-Buddhism, the Truth of Irwon as the object of faith(The Fourfold Grace) and practice(Threefold Training). One of main purposes of this class is to do a research on the identity of the Won-Buddhist thought and how it has been developed under some influence of Buddhism as well as Confucianism and Taoism in the historical perspectives. 3
사회조사방법론 사회조사방법론은 사회현상에 대한 경험적 방법론이다 질적 방법론과 양적방법론을 포함하며 조작적 정의 지표구성 측정 분석 등의 개략적인 내용을 포함한다. Research methodology is a tool subject which deals with social phenomena empirically and includ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It introduces operational definition, indexes, measurement, and analysis. 3
한국신종교연구 신종교의 창립명분이 민중의 희망을 불러일으킨 점을고려하며 제반신종교들의 현황을 파악한다. 후천개벽을 슬로건 으로한 천 도교 증산교 원불교 등을 집중 조망한다. Considering founding justification of new religions caused hope of people, present condition of general new religion is to be comprehended. CheonDo-gyo, Jeungsan-gyo and Won-Buddhism are focused to be illuminated for put slogan of great opening at later heaven. 3
교화상담 원불교 교화자로서 상담역할이 중요한 점을 인지 내담자의 심리와 교화의 상담기법을 통해 교도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마음 치유를 위한 중심으로 강의한다. This is to make student to perceive importance of counseling role in Won-Buddhist edification, to understand problems of the laity through psychology of interviewee and edification counseling technique, and to heal their mind. 3
정산사상연구 원불교 改名을 통해 어려운 시국 속에서 교단을 이끌었던 정산 종사의 생애와 사상을 중심으로 강의한다. 정산종사법어와 한울안 한 이치에 등에 나타난 정산종사의 포부와 경륜을 탐구한다. Life and thought of Master Jeongsan who led the order in difficult period with changing name “Won-Buddhism”, is focused to study. His aspiration, experience and knowledge is researched through the Scripture of Master Jeongsan, HanUlAn HanYiChiEh and other texts. 3
교무론 종교를 직업으로 한 성직자로서 소태산 대종사의 분신으로서 원불교 교역자의 품위와 역할을 밝힌다. 나아가 교리정신 에 나타난 교 무론 교화 현장에서의 교무론을 정립한다. The quality and role of Won-Buddhist minister are illuminated for a cleric and as a alter self of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Also, it establishes the theory for manifested in doctrinal spirit and edification field. 3
원불교와불교관계론 소태산 대종사는 대각 후불교를 연원으로 삼았음을 고려 원불교와 불교의 상생 관계 속에서 상호 정체성을 밝히면서 미래지향적 방향을 전개한다. This is to study for illuminating mutual identities in reciprocal relation between Won-Buddhism and Buddhism, and developing future orienting direction, under the consideration that the Founding Master Sotaesan had established Buddhism as the origin after his enlightenment. 3
원불교영성론 21세기에 접어들어 영성이 중시되는 상황에서 원불교의 영성 개념이 무엇이며 영성함양의 방법들을 조망한다. This is to prospect on the concept of spirit in Won-Buddhism, and methodology of spirit cultivation, in 21st century, spirit em- phasized environment. 3
불교학연구 불교사상의 본질에 대한 개괄적인 연구를 대상으로 한다. 주로 석존 정각의 내용과 불교교단의 성립 그리고 제도이념으로서의 불교사상의 체계와 구조를 분석한다. 그 위에 원시불교의 경전과 인물 그리고 다른 종교와의 관계 속에서 전개된 사상의 추이를 해명한다. This is to general research on the essence of Buddhist thought. It mainly analyzes on the content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of Ś Buddha,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order, and the system and structure of Buddhist thought as an organization doctrine. Also, it elucidates canons and personalities of the early Buddhism, and transition of thought developed in the relation with other religions. 3
불교교리사상사 불교 교리의 발달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이다. 석존 정각의 내용과 초기교단의 교리 대승시대의 교리 그리고 각종각파로 분립 된 교판사상에 대한 기본시각을 제공한다. This subject studies systematically the history of Buddhist doctrinal development. This provides basic knowledge about Sakyamuni Buddha’s enlightenment contents, doctrines of the early Buddhist foundation, doctrines of Mahayana Buddhism era, and thoughts of buddhist sects and denominations. 3
동양철학연구 본 과목은 동아시아의 전통문화의 기반이 되는 철학적 사유의 성립과 변천 및 그 현대적 의미를 탐구하는 과목이다. 구체적으로는 유불도를 중심으로 하여 자연관 인간관 수양론 정치사회 사상 및 문화의식의 중요한 흐름을 공부한다. This is to investigate on establishment, transition and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philosophical thought being based of traditional culture of East Asia. Specifically, centered o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t studies on view of nature and human being, theory of practice, political social thought, and important flow of cultural consciousness. 3
비교종교학연구 비교종교학의 연구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비교종교학의 목적과 의의 방법론 등에 대한 기본적인 시각을 확립하고 비교종교학의 전개 과정에 대해 밝힌다. 그리고 불교와 기독교 등 세계종교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비교종교의 실체에 접근해 나간다. This to systematically study on research methodology of comparative religion. It establishes on basic angle for object, significance, and methodology of comparative religion, and illuminates on development process of it. And focused on world religions, Buddhism and Christianity, it approaches to reality of comparative religion with their. 3
동양예술사상연구 본 과목은 동양의 전통적 미의식과 예술이론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동양예술과 문화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중국과 한국의 전통문화에 끼친 시론 문학론 서화론 등의 제 분야에서 예술형식론 예술창작론 예술 비평론의 성립과 변천과 정에 주목하여 탐구한다. This is to intensively comprehend oriental art and culture by surveying on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and art theories of orient. Especially, it investigate on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transition of art formalism, creation and critics, in various fields of theories of poetry, literature, caligraphy, and painting, in relation with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cultures. 3
역경연구 본 과목은 동아시아의 철학과 문화에 큰 영향을 끼친 주역을 심도 있게 탐구하는 과목이다. 구체적으로는 역경과 역전의 성립과정을 살피고 여러 판본의 교감 및 원문강독을 통해 다양한 해석이 대두되기 이전의 원초적 의미를 탐구한다. This subject is intensively investigating on I-Ching which greatly influenced to philosophy and culture of East Asia. Specifically, it surveys o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I-Ching and related treatises, and examines on original meaning before appearance of various interpretations, through cross referencing of variety versions and reading of original text. 3
노장사상연구 중국 도가철학의 주류를 이루는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도덕경과 남화경의 전적의 구조를 분석하고 역사적인 전개와 사상적 특징을 해명한다. This is to systematically research on the thoughts of LaoZi and ZhuangZi whom are main stream of Chinese Taoist philosophy. It analyzes text structures of DaoDeJing and NanHuaJing, and elucidates on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 of thoughts. 3
전통문화콘텐츠론 전통문화 사상을 콘텐츠의 시각으로 재해석해 나가는 방법론을 모색한다. 문화콘텐츠의 방법을 도입하여 전통의 각종 문화와 사상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재구성해 나간다. This is to search for a methodology of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thought from the view point of contents. Introducing methodology of cultural contents, it studies for reconstruct various traditional culture and thought into new paradigm. 3
신화와상징연구 예술의 중요한 표현 방법의 하나인 신화와 상징을 공부함으로써 예술의 원초적 근원과 그 상징적 표현방식을 탐구하자는 것이 목적이다. This is to research on original source and it symbolic expression methods by studying on myths and symbols, important expression methods of art.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