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형미술학과

조형미술학과

Department of Plastic Arts

 

학위과정 : 박사과정

전 공 명 : 순수미술학 (Fine Arts)

디자인학 (Design) 공예학 (Craft Arts)

학 위 명 : 조형미술학박사 (Ph.D. in Arts)

후드색상 : 박사과정 : 자주색 (Purple)

 

학과 교육목표

1. 조형미술학과는 미술 전반에 걸친 교과과정을 통하여 조형미술을 학문적으로 연구하 고 독자적인 조형 활동을 장려

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전공분야를 순수 미술 디자인 공예로 나누어 전문화 하고 각 전공 별로 현 시대에 상 응하는 이론과 현장의 접목을 도

모한다

3. 국제적인역량과문화 예술적소양을갖춘 연구자교육자작가 등 전문적인재를양 성한다

 

학과대학원 위원회

성명 직위

이화준 조교수

정진환 교수

이강원 교수

최병길 교수

이용석 조교수

황나영 조교수

조은영 교수

최경석 교수

박정주 교수

안현정 부교수

 

편성교과목

박사선수과목

가 6개학과 구조조정 과정에서 통합하여 운영됨에 따라 선수과목을 지정하지 않음 나 학과의 사정에 따라 선수과목을 전공과목 중에서 매 학기 지정함

 

공통과목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80900300 작품분석연구 Special Issues in Artworks 3
80900301 미술특수문제연구 Special Topics in Art 3
80900302 디자인분석연구 Analysis of Design 3
80900303 디자인특수문제연구 Study in Special Issues of Design 3
80900304 공예조형원리연구 Principles of Plastic Forms 1 3
80900305 공예특수기법연구 Special Techniques of Craft 1 3
80900306 현대조형비평론 Criticism of Contemporary Design & Craft 3
80900307 현대작가특론 Advanced Study on Contemporary Artists 3
80900308 공공디자인연구 Study in Public Design 3

 

전공과목

순수미술학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80901001 특수기법연구 Studies in Special Techniques 3
80901002 조형계획 Practice on Plastic Forms 1 3
80901003 조형계획 Practice on Plastic Forms 2 3
80901004 심화과제 Advanced Subject 1 3
80901005 심화과제 Advanced Subject 2 3
80901011 미술비평론 Theories of Art Criticism 3
80901012 미술비평사 History of Art Criticism 3
80901013 현대미술비평론 Seminar on Contemporary art Criticism 3
80901014 한국현대미술비평론 Criticism of Korean Contemporary Art 3
80901015 작품제작론특강 Sminar on Practice of Art 3
80901016 미술사회학 Sociology of art 3
80901017 미술사방법론 Methodologies of Art History 3
80901019 서양현대미술비평론 Criticism of Western Contemporary Art 3
80901020 동양회화론연구 Topics in Theory of Oriental Paintings 3
80901021 서양회화론연구 Topics in Theory of Westen Paintings 3
80901022 조각론연구 Topics in Theory of Sculptures 3
80901023 예술사회학 Sociology of Art 3
80901024 공공미술론 Theories of Public Art 3
80901025 미술사특수문제연구 Topics in Art History 1 3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80901026 미술사특수문제연구 Topics in Art History 2 3
80901027 동서미술교류사특론 Topics in East-West Interchanges in Art 1 3
80901028 동서미술교류사특론 Topics in East-West Interchanges in Art 2 3
80901029 문화예술현장연구 Field Study in Art and Culture 3
80901030 미술전시특론 Topics in Art Exhibitions 3
80901031 서양조각사론 Theories of Western Sculpture History 3
80901032 동양조각사론 Theories of Asian Sculpture History 3
디자인학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80902003 특수과제 Special Subject 1 3
80902004 특수과제 Special Subject 2 3
80902007 이미지와코드의기호론특강 Semiology of Image and Code 3
80902008 비주얼커뮤니케이션과도형인

지론

Visual Communication and Pattern Recognition 3
80902009 디자인각론및특수문제연구 Special Issues in Design Theory 3
80902012 디자인비평연구 Study in Design Criticism 3
80902013 디자인메니지먼트연구 Study in Design Management 3
80902016 현대디자인사 History of Contemporary Design 3
80902017 디자인심리학 Design psychology 3
80902018 디자인비즈니스기획 Design Business Planning 3
80902019 CGI 커뮤니케이션특론 CGI Communication Theory 3
80902020 뉴미디어특론 Reserch of New Media 3
80902005 특수디자인연구 Special Issues in Design 1 3
80902006 특수디자인연구 Special Issus in Design 2 3
80902021 공간디자인담론 Space Design Discourse 3
80902022 모더니즘비평 Critical Studies in Modernism 3
80902023 공간디자인방법론 Methodology of Space Design 3
80902024 인간환경색채 Human, Environment & Color 3
80902025 공간디자인의자연과학적이슈 Scientific Issues in Space Design 3
80902026 공간디자인의철학적이슈 Philosophical Issues in Space Design 3
80902027 공간디자인의심리학적이슈 Psychological Issues in Space Design 3
80902028 공간디자인의미학적이슈 Aesthetic Issues in Space Design 3
80902029 공간디자인의생태학적이슈 Ecological Issues in Space Design 3
80902030 컴퓨테이션과생성 Computation & Generation 3
80902031 디지털패브리케이션 Digital Fabrication 3
공예학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80903001 공예조형원리연구 Principle of Forms 2 3
80903002 공예특수기법연구 Special Technics of Craft 2 3
80903003 공예작품분석연구 Analysis of Works 1 3

 

학수번호 과목명 영문명 학점
80903004 공예작품분석연구 Analysis of Works 2 3
80903005 공예조형방법론 Methodology of Forms 1 3
80903006 공예조형방법론 Methodology of Forms 2 3
80903007 공예특수과제 Special Subject of Craft 1 3
80903008 공예특수과제 Special Subject of Craft 2 3
80903009 현대공예각론특강 Seminar on Modern Craft 1 3
80903010 현대공예각론특강 Seminar on Modern Craft 2 3
80903011 동서양현대공예비교연구 Comparison Between Eastern & Western Craft

Works 1

3
80903012 동서양현대공예비교연구 Comparison Between Eastern & Western Craft

Works 2

3
80903013 한국전통공예특론 Seminar on Korean Traditional Craft 1 3
80903014 한국전통공예특론 Seminar on Korean Traditional Craft 2 3
80903015 도자조형론 Theory of Ceramic Formation 3
80903016 섬유조형론 Theory of Textile Formation 3
 

교과목 해설

     
공통과목

작품분석연구

 

Special Issues in Artworks

   

조형의 원리와 미술양식들을 기초로 하여 작품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연구를 한다

Based on the principles of sculpture and the style of art, the work is analyzed and researched to grasp its meaning.

 

미술특수문제연구 Special Topics in Art

현대미술의 양상들을 분석 연구하여 새로운 창작을 검토한다 Analyze and study aspects of modern art to examine new creations.

 

디자인분석연구

디자인사에서 표현된 약식들의 분석을 통한 디자인방법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Abbreviations expressed in Design History

 

디자인특수문제연구

신기술과 디자인의 새로운 환경에 대한 분석 및 연구를 한다

Analyze and study the new environment of new technology and design.

 

공예조형원리연구 Principles of Plastic Forms 1

공예의 성립요건과 조형형식의 기존원리 고찰과 아울러 새로운 형식을 발견 연구한다

In addition to examining the existing principles of craftsmanship and formulation, new forms are discovered and studied.

 

공예특수기법연구Techniques of Craft 1

재료의 성질에 따른 기존 기법 고찰과 특수기법의 발견을 연구한다

The study of existing techniques and the discovery of special techniqu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s.

 

현대조형비평론 Criticism of Contemporary Design &Craft

현대공예의 조형원리와 심미성을 연구하는 비평의 이론과 역사를 연구한다

study the theory and history of criticism that study the shaping principle and aestheticity of modern craft.

 

현대작가특론 Advanced Study on Contemporary Artists

동시대에 주목할 만한 국내외 작가들을 선별하여 그 작품과 비평자료를 다각도로 연구하고 비편적인 안목을 기른다

Select domestic and foreign writers who are remarkable in their contemporaries, study their works and critiques in a variety of ways and cultivate an unbiased eye.

 

공공디자인연구

공공영역의 조형적 질서 구축에 주목하여 디자인의 문화적 측면을 연구한다

To study the cultural aspects of design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nstruction of modelling order in the public domain.

 

순수미술학

특수기법연구 Studies in Special Techniques

미술의 재료기법들과 다양한 재료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창작을 심화시킨다

Through the study of art materials techniques and various materials, creation is intensified.

 

조형계획 Practice on Plastic Forms 1

조형의 원리와 회화의 제요소를 바탕으로 작품을 제작한다

It produces works based on the principles of sculpture and the elements of painting.

 

조형계획Practice on Plastic Forms 2

조형의 원리와 회화의 제요소를 바탕으로 작품제작을 심화한다

Based on the principles of sculpture and the elements of the painting, the production of the work will become deeper.

 

심화과제 Advanced Subject 1

멀티미디어 사진 동영상 컴퓨터 그래픽 등 예술의 첨단 특수기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영상과 작품을 제작한다

It produces new images and works using the art’s advanced special techniques such as multimedia, photography, video and com- puter graphics.

 

심화과제 Advanced Subject 2

심화과제의 심화과정으로 멀티미디어 사진 동영상 컴퓨터 그래픽 등 예술의 첨단 특수기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영상과 작품을 심 화 제작한다

In the process of deepening the first task, new images and works will be produced by using the art’s advanced special techniques such as multimedia, photography, video and computer graphics.

 

미술비평론 Theories of Art Criticism

현대미술의 양식적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적용되어 왔던 미술비평의 방법론들을 연구한다

It examines the stylistic changes of modern art and studies the methodologies of art criticism that have been applied to it.

 

미술비평사

미술비평의 역사와 그 방법론들을 연구한다

study the history of art criticism and its methodologies

 

현대미술비평론 Seminar on Contemporary art Criticism

현대미술의 양식적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적용되어 왔던 미술비평의 방법론들을 연구한다

It examines the stylistic changes of modern art and studies the methodologies of art criticism that have been applied to it.

 

한국현대미술비평론Contemporary Art

한국 현대미술의 양식적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적용되어 왔던 미술비평의 방법론들을 연구한다

It examines the stylistic changes in modern Korean art and studies the methodologies of art criticism that have been applied to it.

 

작품제작론특강 Sminar on Practice of Art

주어진 주제에 대한 개념설정과 구상을 재료기법들과 다양한 재료들로 실현해 내는 과정과 이에 대한 각자의 연구발표를 병행하여 작품세계를 심화시킨다

To deepen the work world by combining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and conception of a given subject with material tech-niques and various materials and the presentation of their own research.

 

미술사회학 Sociology of art

서로 다른 사회집단을 연구하여 그들의 철학을 재구성하여 이를 통해 예술로 진입하여 미술양식의 성격과 기원을 이해한다

Study different social groups, reconstruct their philosophy, through which they enter art and understand the character and origin of art form.

 

미술사방법론 Methodologies of Art History

현대미술의 양식적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적용되어 왔던 미술비평의 방법론들을 연구한다

It examines the stylistic changes of modern art and studies the methodologies of art criticism that have been applied to it.

 

서양현대미술비평론Contemporary Art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서양 현대미술의 양식적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적용되어 왔던 미술비평의 방법론들을 연구한다

It examines the stylistic changes of Western modern art after World War II, and studies the methodologies of art criticism that have been applied to it.

 

동양회화론연구 Topics in Theory of Oriental Paintings

동양 특히 한중일 3국의 동양회화의 양식적 변화와 차이를 연구한다

The study examines the changes and differences in the style of Oriental painting in the three countries, especially Korea, China and Japan.

 

서양회화론연구 Topics in Theory of Westen Paintings

서양미술의 양식적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적용되어 왔던 미술이론들을 연구한다

Look at the stylistic changes in Western art and study the art theories that have been applied to it.

 

조각론연구 Topics in Theory of Sculptures

서양조각의 양식적 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적용되어 왔던 조각이론들을 연구한다

Look at the stylistic changes in Western sculpture and study the theory of sculpture that has been applied to it.

 

예술사회학 Sociology of Art

예술과 그것을 창조시킨 주변 환경과의 연관성속에서 예술을 논하는 것으로서 그것을 예술의 감상 비평의 영역을 한층 광범위하 고도 심오하게 변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본 과목은 그러한 변화추이를 추적하면서 예술작품의 탄생 감상 평가 소장 등의 영역 을 연구한다

Discussing art in its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created it has resulted in a broader and deeper transfor- mation of the realm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art. This subject studies areas such as the birth, appreciation, evaluation, and director of artwork while tracking such changes.

 

공공미술론 Theories of Public Art

본 과목은 다양 복잡해져 가는 현대인의 도시 생활공간을 심미성 기능성 문화성 등 복합적인 특성을 공유한 공간으로 변모시키는 방법론의 하나로 부상한 공공미술을 학술적으로 연구한다

This subject studies public art that has emerged as one of the methodologies that transforms the urban living space of modern people into a space that shares complex characteristics such as aesthetic, functional and cultural.

 

미술사특수문제연구 Topics in Art History 1

근현대 미술의 다양한 ism, 작가 작품에서 특별히 연구할 문제들을 선별하여 심도있게 분석하고 다각도로 고찰하는 능력을 키운다 It enhances the ability to select and analyze in depth and examine the problems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a variety of research

 

미술사특수문제연구 Topics in Art History 2

근현대 미술의 다양한 ism, 작가 작품에서 특별히 연구할 문제들을 선별하여 미술사적인 다양한 방법론으로 접근하고 심도 있게 분석하고 고찰해 본다

Select the problems that will be specially studi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pproach them with various methodologies in art history, analyze them in depth, and examine them.

 

동서미술교류사특론Topics in East-West Interchanges in Art 1

동서양 미술 교류의 전개와 변천과정 및 그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고찰함으로써 미술문화 간의 교섭 및 비교연구 방법론에 대해 이해한다

understand the methodology of negotiation and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art culture by examining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art exchange between East and West and it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동서미술교류사특론 Topics in East-West Interchanges in Art 2

동서양 미술 교류의 전개와 변천과정 및 그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고찰함으로써 미술문화 간의 교섭 및 비교연구의 다양한 시각과 방법론에 대해 심도 있게 고찰한다

The various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of negotiation and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art cultures are discussed in depth by examining the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art exchang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their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문화예술현장연구 Field Study in Art and Culture

다양한 문화예술 현장의 사례 연구나 방문을 통해 동시대 문화예술의 탈장르적 상호 융합적 속성 및 중요한 제 이슈들을 연구한다 Through case studies or visits at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sites, we study the maskjangristic, mutually convergent singing and important issues of contemporary culture and art.

 

미술전시특론Topics in Art Exhibitions

국내외 미술관 갤러리 대안공간 등의 주목할 만한 전시와 기획을 연구하고 각 사례별 장단점과 쟁점을 점검함으로써 실무적인 감 각과 능력을 키운다

It develops practical sense and ability by studying notable exhibitions and planning of domestic and foreign art galleries, galleries, and alternative spaces, and checking each case’s merits and demerits and issues.

 

서양조각사론

고대 도시국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서양 조각의 흐름을 연대기적 양식사적 측면에서 파악하고 관련된 각 시대정신도 아울러 고찰 함으로써 서양사에서 조각의 위상을 재확인하고 그것이 인간의 삶에 미쳐왔던 각 시대별 영향을 추론해본다

By identifying the flow of Western sculpture from ancient city-states to modern times in terms of chronicle and stylistic historical aspects, and examining the spirit of each era involved, we reaffirm the status of sculpture in Western history and deduce the influ- ence of each period that it has had on human life.

 

동양조각사론

동양권의 고대 국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국가별 민족별 조각의 흐름을 연대기적 양식사적 측면에서 파악하고 관련된 독특한 시 대정신도 아울러 고찰함으로써 동양사에서 조각의 위상을 재확인하고 그것이 인간의 삶에 미쳐왔던 각 시대별 영향을 추론해본다 It reaffirms the status of sculpture in Oriental history and deduces the influence of each era that it has had on human life by identifying the flow of sculpture by country and ethnicity from the ancient countries of the Orient to the modern world in a chronological and stylistic way.

 

디자인학

특수과제

디자인과 연계된 학제적 연구분야에 대한 탐구를 시도한다

Try research a field of academia which is connected with design.

 

특수과제 Special Subject 2

특수과제에 대한 심화연구를 수행한다

Perform study on the deepening of special assignment 1.

 

이미지와코드의기호론특강Image and Code

이미지와 코드의 이론에서 기호 생산에 의한 상징체계의 해석과 창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Study interpretation and creation of symbol-system by symbol production in theory of image and code.

 

비주얼커뮤니케이션과도형인지론Pattern Recognition

형태가 같는 대중들의 심리적인 반응과 기초적인 조형 요소로서의 도형과의 이론적 연구를 수행한다 Perform theoretical study about psychological reaction of population and figure as formative element.

 

디자인각론및특수문제연구 Special Issues in Design Theory

디자인의 본질과 역사적 맥락 속에서의 새로운 디자인에 관한 비전과 모델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Study basics of design and the vision of brand new design in historical context.

 

디자인비평연구 Study in Design Criticism

특정 문화권 내의 독특한 존재양식의 전형에 대한 인과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소비와 생산의 주체 그리고 디자인자체에 관한 비평적 연구를 수행한다

By studying cause-and-effect relationship of being mode in specific culture area, we perform critical study of design itself, and main agents of consumption & production.

 

디자인메니지먼트연구 Study in Design Management

디자인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론과 경영마인드의 강화를 위한 이론체계를 개발한다

Set up theory structure and methodology to intensify management mind and competitiveness of design.

 

현대디자인사Contemporary Design

현대 디자인 운동들의 디자인 배경과 특징 그리고 표현양식을 연구한다

Study background, characteristic, and forms of modern design movements.

 

디자인심리학

아름다운 디자인의 원천이 어디에 있는지를 시지각 심리학을 통해 연구한다

Study visual perception psychology to find out where this beautiful source of design came from.

 

디자인비즈니스기획 Design Business Planning

디자인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가능성 모색과 체계적 기획력을 개발한다

Develop systematic plan and seek potential of new business through design.

 

CGI 커뮤니케이션특론

CGI를 기반으로한 영화게임웹 TV등의 커뮤니케이션 영역의시각언어제작과정및 제작기술 결과물들의 반응도및 효용성등에 대한 연구

Study production process, technique of visual language and relativeness, usefulness of all the results in communication area like movie, game, web, TV Which are based on CGI.

 

뉴미디어특론

빠르고 복잡 다양하게 변화되어가는 미디어에 대한 발전과정과 개발사례의 분석을 통한 미래 발전방향의 예측 및 대안의 연구

Study a process of development of quickly, variously changing media and by analyzing cases of development, it predict future extensions and alternatives.

 

특수디자인연구

본 수업은 두 과정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본 과정은 1과정이다 당대에 주목할 만 디자인을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디자인의 생성과 재 현의 원리를 이해한다 본 과정은 창의적인 디자인과정의 재현을 위해 필요한 개념과 매뉴얼 스킬을 소개하는 과정이다 비판적 사고 와 개념 생성은 일차적인 초점이며 사례수집과 분석 그리고 프리젠테이션과 토론은 이 과정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

This class is divided into two courses, which is 1 course.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the generation and representation of design by selecting a project that is remarkable in the present time. This course is an introduction to conceptual and manual skills that represent necessary steps in design evolution. Critical thinking and concept creation are the primary focus, and case collection and analysis and presentation and discussion help establish this process.

 

특수디자인연구 Special Issus in Design 2

특수디자인연구 1 주제와 연관되어진 심화과정으로 이를 보다 세밀하게 분석한다

It is analyz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deepening process associated with the subject of Special Issues in Design 1.

 

공간디자인담론

맥락 방법론 프로그램과 공간화는 공간디자인의 형태의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호관계적 차원의 의미들과 영향성에 대하여 탐구한다 이론을 기초로 하며 경험주의적이고 직관적인 관찰과 그리고 창의적인 과정들의 경험을 기초로 수업이 이루어진다 과정 들은 공간디자인 이외의 학문이나 예술과 디자인 문화 기술 과학 등 이외의 지식의 분야로부터 오는 통합적인 관점으로 다룬다

Issues of context, methodology, program and spatialisation are explored for their possible interrelated meanings and influences on the generation of spatial design form. Theory based courses have a basis in empiricism, direct observation and experience of creative processes. The discourses may be from disciplines other than spatial design or branches of knowledge other than art and design and culture, technology, science etc.

 

모더니즘비평 Critical Studies in Modernism

이 수업은 20세기 디자인의 역사적인 맥락에서 다양한 의미와 새로운 역할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제작자 시스템 디자이너 사회 이 론가 문화 해석가 이데올로기를 다룬다 공간 디자인과 현대적 상호의존성과 그리고 마음과 손 근대성과 지역성 표현주의와 보편 성 사이의 반복되는 갈등 증대에 강조될 것이다

The course will focus on various meanings and new role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20th century design. :Deal with the study of form maker, system design, social theorist, cultural interpreter, ideologue. Emphasis will be placed upon the increasing interdepend- ence of space design and the modern, and the recurrent conflicts between mind and hand, modernity and locality, expressionism and universality.

 

공간디자인방법론 Methodology of Space Design

최근 공간디자인의 다양한 방법론을 수집하고 이들을 체계화하여 그 유형을 분류한다 이를 토대로 미래의 디자인 방법론에 대하여 예측한다 본 코스는 학생들에게 선례 현장 관련 문제 프로그램 및 규정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는 토론을 통해 논문주제와 각자의 디 자인프로젝트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Recently, various methodologies are collected in the field of spatial design, and the types are classified by organizing them. Based on this, predict future design methodologies. This course is designed to assist students in identifying a thesis topic and respective design project through discussions that include studies of precedents, site related issues, program, and regulations, all of which are specific to adaptive reuse.

 

인간환경색채 Human, Environment & Color

본 과정은 완공되어진 건축 환경에서 공간적 시각적 지각에 적용됨에 따라 색과 빛의 기본 원리에 대한 원리와 소개를 제공한다 빛 조명 시스템 그리고 빛이 색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색 이론을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색채와 관련하여 인간공학과 심 리 에너지등을 동시에 연구한다

This course explores principle & introduction 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olor and light as they apply to spatial and visual perceptions in the built environment. It is an opportunity to study color theory in conjunction with light, lighting systems and the effect of light on color. The study of human engineering, psychology, and energy at the same time, especially in relation to color.

 

공간디자인의자연과학적이슈

물리적인 공간화는 단순하게 인간의 경험만으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인간은 자연을 극복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과학지식을 습득 하였고 이를 통해 물질 재료 공법 등과 같은 구축을 체계화 하였다 역사적으로 건축을 볼때 늘 인간은 자연을 닮고 분석하고 노력 하는 과정에서 더욱 발전되어 왔다 공간디자인에서의 과학의 진보와 발전은 항상 동행하였다 우리는 역사적으로 기념비적이고 이 슈가 되는 다양한 사례를 찾아보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미래의 건축을 예측 할 수 있다

Physical spatialization does not consist simply of human experience. In order to overcome and utilize nature, human beings ac- quired various scientific knowledge and organized the construction of materials,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Historically, in architecture, humans have always been more developed in the process of looking at and analyzing nature. The progress and development of science in spatial design has always been accompanied. We can predict future architecture through the process of looking up and issues of analyzing historical, monumental design results

 

공간디자인의철학적이슈

이 수업의 주제들은 현대철학에서의 사고체계와 건축분야가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관련을 맺으며 현실에서 구체화되는가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 세계의 유명한 철학자들은 그들의 사상을 공간을 은유하여 비유하였으며 특히 이를 이루는 경계에 주목하고 있다 우리는 공간의 가장 원초적이고 기본적인 개념을 위해 철학자의 사상을 연구 할 필요가 있다

The subjects of this class focus on the thinking system in modern philosophy and how the architectural field interrelates and ma- terializes in reality. Famous philosophers of the world have likened their ideas to space metaphorically, especially, they are paying attention to the meaning of the boundaries. We need to study philosophers’ ideas for the most primitive and basic concepts of space.

 

공간디자인의심리학적이슈

클라이언트사용자의 심리는 환경디자인의 설계와 내부 구조의 공간화에 영향을 미친다 이 과정은 인체측정학인체의 특성에 대한 연구 인체공학적인체학적 데이터를 설계에 적용하는 방법 그리고 유사학문화심리학적 요소가 설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연 구의 문제를 탐구한다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은 환경과 사용자의 문화 성별 생활 주기 단계 및 신체적 특징의 상호 작용에 대한 사실 을 수집할 것이며 이 수집된 정보와 이이디어들은 물체의 설계에서 구현될 것이다

The psychology of the client/user influences the design of the environment and the practice of interior architecture. This course will explore issues of anthropometrics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ergonomics (the application of anthro- pometric data to design), and proxemics (the study of the effect of cultural/psychological factors on design). During the semester the student will gather facts about the interaction of the environment and a user’s culture, gender, stage of life cycl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ese ideas will be implemented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an object.

 

공간디자인의미학적이슈 Aesthetic Issues in Space Design

공간디자인에서의 형태는 이를 이루기 위한 분명한 이유가 존재한다 설계자의 디자인 성향은 지식과 경험 그리고 자신이 포함되어 진 문화나 사회의 영향에 귀속되어 있다 이는 디자인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형태는 일종의 문화적인 코드이며 이를 공간화하기 위 해서는 위해 필요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 이는 물리적인 물질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며 이를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선례와 경험이 필요하다 본 수업은 공간의 외형에 드러난 숨어있는 의미와 구축과 표현의 방식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Forms in space design have clear reasons to compose this. Designers’ design tendencies are attributed to knowledge, experience and the influence of the culture or society in which they are included. Forms are a kind of cultural code that requires a variety of knowledge and technology to spatialize. This is done by physical materials and requires a variety of precedents and experiences to construct them. The purpose of this class is to understand the hidden meaning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and expression revealed in the appearance of space.

 

공간디자인의생태학적이슈

이 과정은 명백하게 공간시스템이 포괄적이고 통합적으로 구축되는 방법연구에 도움을 준다 현 우리는 환경오염 기후 온난화 등 으로 공간화라는개념에 대하여 다시 생각 해봐야 한다 이 수업은 지속 가능성 친환경 재생공간에너지 등과 같은 이슈에 주목하 고 있다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study how distinct spatial systems are constructed to form a comprehensive whole. Now we have to rethink the concept of spatialization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climate warming, etc. The class focuses on issues such as sustainability, eco-friendly, renewable space and energy.

 

컴퓨테이션과생성 Computation & Generation

컴퓨터적인 기술과 아이디어적인 관점으로 제작 쓰기 읽기 토론 등을 통해 탐구된다 본 코스의 일부 작업은 디지털 모델의 공간화 중점을 둘 수 있지만 코딩 물리적 계산 및 인간 계산도 연구 될 수 있다 몇몇의 이슈는 모델링 대 시뮬레이션 컴퓨터 제어 제작 지 능 및 창의성을 포함하는 과정이 유발될 수도 있다

Computational techniques and ideas are explored through making, writing, reading, and discussion. Some of the work in this course will take place in the space of the digital model, but coding, physical computation, and human computation may also enter into play. Some issues that may arise during this course include modeling vs simulation, computer controlled fabrication, intelligence, and creativity.

 

디지털패브리케이션 Digital Fabrication

이 과정은 학생들에게 산업디자인에서 첨단 기술의 적용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생들은 첨단 에너지 모델링 고 급 구조 분석 고성능 구조 고급 중요성 지속 가능한 설계 제조 기술 등과 같은 디자인과 기술 간 관계성을 탐구한다 이 세미나는 학 생들의 연구 수행 능력을 강화하고 재료 성능을 탐구하며 응용 기술에 기반한 설계 개념의 검증을 가능하게 하기위해 고안되었다

The course offer Students the opportunity to focus on advanced applications of technology in industrial design Students will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technology within topics such as advanced energy modeling, advanced structural analysis, high performance structures, high performance building facades, and sustainable design. These seminars are designed to strengthen students’ ability to conduct research, explore material performance and enable validation of design concepts based on applied technology.

 

공예학

공예조형원리연구

공예의 성립요건과 조형형식의 기존 원리고찰과 아울러 새로운 형식의 발견을 연구한다

The discovery of a new type is studi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basic observations of craft requirements and formations.

 

공예특수기법연구Technics of Craft 2

기존기법의 고찰과 아울러 특수기법의 실험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In addition to examining existing techniques, experimental studies of special techniques are carried out.

 

공예작품분석연구 Analysis of Works 1

현대 동서양 공예 작품에 대한 재료와 기술 및 기법 조형성 기능성 등에 대한 분석 연구한다

The analysis of materials, techniques and techniques, formability, functionalities, etc. for modern and western craft works is studied.

 

공예작품분석연구 Analysis of Works 2

현대 동서양 공예 작품에 대한 재료와 기술 및 기법 조형성 기능성 등에 대한 분석 연구한다

The analysis of materials, techniques and techniques, formability, functionalities, etc. for modern and western craft works is studied.

 

공예조형방법론 Methodology of Forms 1

재료와 기술 및 기법을 근간으로 새로운 공예성립형식을 구안하고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계획의 연구를 수행한다

Design new craft form based on materials, skills and techniques and carry out research of systematic and rational planning.

 

공예조형방법론 Methodology of Forms 2

재료와 기술 및 기법을 근간으로 새로운 공예성립형식을 구안하고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계획의 연구를 수행한다

Design new craft form based on materials, skills and techniques and carry out research of systematic and rational planning.

 

공예특수과제 Special Subject of Craft 1

한국 현대공예의 제 문제점의 제기와 새로운 방향을 모색한다

It seeks to raise its own problems and seek new directions in Korean modern crafts.

 

공예특수과제Craft 2

한국 현대공예의 제 문제점의 제기와 새로운 방향을 모색한다

It seeks to raise its own problems and seek new directions in Korean modern crafts.

 

현대공예각론특강 Seminar on Modern Craft 1

동서양 현대공예의 특수현상 및 변모 방향에 대한 특강을 수행한다

Special lectures on the special phenomena and direction of transformation of Eastern and Western modern crafts are carried out.

 

현대공예각론특강Craft 2

동서양 현대공예의 특수현상 및 변모 방향에 대한 특강을 수행한다

Special lectures on the special phenomena and direction of transformation of Eastern and Western modern crafts are carried out.

 

동서양현대공예비교연구 Comparison Between Eastern & Western Craft Works 1

한국 등 동양 공예와 서구 현대 공예의 양식을 비교 연구한다

It will compare and study the styles of Eastern and Western modern crafts, including Korea.

 

동서양현대공예비교연구 Comparison Between Eastern & Western Craft Works 2

한국 등 동양 공예와 서구 현대 공예의 양식을 비교 연구한다

It will compare and study the styles of Eastern and Western modern crafts, including Korea.

 

한국전통공예특론Traditional Craft 1

한국 전통 공예의 특수가법과 양식을 비교 연구한다

Compare and study the special methods and styles of traditional Korean crafts.

 

한국전통공예특론 Seminar on Korean Traditional Craft 2

한국 전통 공예의 특수가법과 양식을 비교 연구한다

Compare and study the special methods and styles of traditional Korean crafts.

 

도자조형론 Theory of Ceramic Formation

예술의 창의성은 형식주의를 적극적으로 무너뜨리는데 있다 이러한 것은 자기 중심적 조형 목적에 가까이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을 목적으로 끊임없는 실험 정신과 이론적 바탕을 확립하여 표현을 자유롭고 자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e creativity of art lies in actively destroying formalism. This is because it has close access to the purpose of self-centered molding. Aimed at this, the aim is to establish constant experimental spirit and theoretical basis, free and confident in expression.

 

섬유조형론 Theory of Textile Formation

현대조형 중 미술운동과 디자인의 한 장르로써 부각되고 있는 섬유조형원리를 과거 염직 공예의 범주에서 확장된 현대 섬유조형은 본질적인의미로부터 어떻게다르며근대 공예운동에서 시작하여나아가환경조경건축 관계 속에서의위치를분석하여각 논자 들의 재료와 기법의 사용에 있어서의 조형적 심화된 원리를 체계화 시키고자 한다

The modern textile fabrication principle, which has been highlighted as a genre of art movement and design during modern con- struction, differs from the essential meaning of past textile craft categories and further analyzes the location in the environment, landscape and architectural relationship to structure the modality-enhanced principle in the use of materials and techniques of each dissenter.